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fety Consciousness upon Risk Recognition of Accidental Type

초등학생들의 안전의식이 사고유형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 Park, Sang-Sub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ChungCheong University) ;
  • Lee, Chang-He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Jeonju Kijeon College)
  • 박상섭 (충청대학 응급구조과) ;
  • 이창희 (전주기전대학 응급구조과)
  • Received : 2010.04.12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examine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fety consciousness upon risk recognition of accidental type. We carried out targeting 378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ttended 4 schools in J city and K city of J province from June 25 July 15, 2009. The statistical processing was done by SPSS WIN 12.0 Vers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to p<.05. As for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safety characteristics and safety consciousness, and risk recognition of accidental type, the safety conscious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risk recognition of traumatic accident(r=.179, p<.01) and risk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accident(r=.104, p<.05).The whole data of risk recognition of accidental type, the safety education within 1 year($\beta=.139$, t=2.654, p<.01) and traffic safety consciousness($\beta=.172$, t=2.714, p<.01) were indicated to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risk recognition of accidental type.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안전의식이 사고유형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2009년 6월 25일부터 7월 15일까지 J도 소재 J시 K시 4개교에 재학하는 초등학생 378명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12.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05로 설정하였다. 안전실태의 특성의 변수들과 안전의식, 사고유형 위험인식 간의 상관관계는 안전의식은 외상사고 위험인식(r=.179, p<.01)과 환경사고 위험인식(r=.104, p<.05)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고유형 위험인식 전체에 대해서 살펴보면 1년 내 안전 교육($\beta=.139$, t=2.654, p<.01)과 교통안전의식($\beta=.172$, t=2.714, p<.01)이 사고유형 위험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명선, 박경옥. "학교의 안전교육 관련 특성이 청소년의 사고발생 예측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1권, 제2호, pp. 147-165, 6월, 2004.
  2. 박상철.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실태연구",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월, 2005.
  3. 이재남, 정명애, 박지원. "초등학교 아동의 안전교육이 안전생활 실천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제12권, 제4호, pp. 506-513, 10월, 2006.
  4. 김지영.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안전교육 실태비교",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월, 2009.
  5. 이수정. "초등학교 아동의 사고예방행동과 사고발생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월, 1997.
  6. Caballero, J. A. "The handbook of learning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Atlanta humanics, 1980.
  7. 통계청. "2006년 사망원인 통계연보" 2008.
  8. 권유진, 정상길.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응급상황 경험과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 및 교육 요구도",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13권, 제1호, pp. 97-114. 4월, 2009.
  9. 국민일보쿠키뉴스(www.kukinews.com). "아동안전사고 89%가 부주의 탓", 5월, 2007.
  10. ussell, KM.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health beliefs and social influence",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Vol. 14, No. 3, pp. 163-177, 1991. https://doi.org/10.3109/01460869109014496
  11. Heinrich H.W. et al.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 a safety management approach-5th ed", New York, Mc Graw Hill, 1980.
  12. Joel L. Bass, Kishor A. Mehta. "Developmentally-Oriented Safety Surveys", Clinical Pediatrics, Vol. 19, No. 5, pp. 350-356, 1980. https://doi.org/10.1177/000992288001900508
  13. Guyer, B, Susan, S, Gallagher, C. V, & Azzara, C. V. "Prevention of childhood injuries evaluation of the statewide childhood injury prevention program (SCIPP)", Am J Public Health, Vol. 79, No. 11, pp. 1521-1527, 1989. https://doi.org/10.2105/AJPH.79.11.1521
  14. 장석민, 정태화, 옥준필, 이정표, 김선희. "학교안전.보건교육 체계화 및 학교안전 관리지침", 한국산업안전공단, 1997.
  15. 서병제. "학교안전사고실태분석 및 지도방안-경기도내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월, 2002.
  16. 윤선화. "유아교사의 아동안전 지식, 지각 및 실천에 관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월, 1999.
  17. 심은순. "초등학생의 안전의식 및 실천정도와 안전 사고 발생 실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월, 2003.
  18. 임현주. "초등학생의 안전의식과 안전실천과의 관계 분석",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월, 2005.
  19. 김민아. "서울시 고등학생의 안전교육 실태 및 요구도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월, 2001.
  20. 김경미. "고등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 수준 및 교육실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월, 2007.
  21. 송은영. "서울시내 중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교육경험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월, 2004.
  22. Abbound Dal Santa. J. "Childhood intentional injuries: factors predicting common injuries among preschool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1993.
  23. Sharon F. Halperin, Joel L. Bass, Kishor A. Mehta. "Knowledge of Accident Prevention Among Parents of Young Children in Children in Nine Massachusetts Towns", Public Health Reports, Vol. 98, No 6, pp. 548-552, 1983.
  24. Deborah Glik, Jennie Kronenfeld, Kirby Jackson. "Predictors of Risk Perception of Childhood Injury among Parents of Preschoolers", Health Education Quarterly, Vol. 18, No. 3, pp. 285-301, 1991. https://doi.org/10.1177/109019819101800303
  25. 강희숙, "국민학교 어린이의 사고 예방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학회지, 제11권, 제2호, pp. 18-32, 1994.
  26. 김혜원. "안전의식 측정 척도 개발 연구 : 서울시일부 중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월, 2002.
  27. Bandura, A.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Vol. 50, No. 2, pp. 248-287, 1991.
  28. Gielen, A. C. "Health Education and Injury Control : Integrating Approaches", Health Educ Q, Vol. 19, No. 2, pp. 2003-2018, 1992.
  29. Kidwell-Udin, P, Jacobsin, D. Jensen, R. "It's Never Too Soon To Teach Car Safety", MCN Am J Matern Child Nurs, Vol. 12, No. 5, pp. 344-345, 1987. https://doi.org/10.1097/00005721-198709000-00019
  30. 박대성. "초등학생 안전의식과 안전사고 발생 실태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월, 2005.
  31. Bandura, A. "Social learning thr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7.
  32. Rivara, F. P. & Grossman, D. C. "Prevention of traumatic deaths to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how far have we come and whrer do we need to go?", Pediatrics, Vol. 97(6 Pt 1), pp. 791-797, 1996.
  33. Fisher, L, Harris, V. G, Vanburen, J, & Demaio, A. "Assessment of a pilot child playground injury prevention project in New York State", Am J Pubic Health, Vol. 70, No. 9, pp. 1000-1002, 1980. https://doi.org/10.2105/AJPH.70.9.1000
  34. Rivara, F. P, Cathyrn, L. B, Bergman, A. B, Rogers, L. W, & Weiss, J. "Prevention of pedestrian injuries to children : Effectiveness of a school training program", Pediatrics, Vol. 88, No. 4, pp. 770-775, 1991.
  35. Loescher, L. J, Emerson, J, Taylor, A, Christensen, D. H, & McKinney, M. "Educating preschoolers about sun safety", Am J Public Health, Vol. 85, No. 7, pp. 939-943, 1995. https://doi.org/10.2105/AJPH.85.7.939

Cited by

  1. Research of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Living and Laboratory vol.28, pp.4, 2014, https://doi.org/10.7731/KIFSE.2014.28.4.089
  2. Safety Awarenes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vol.13, pp.2,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2.279
  3.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risk behaviors and injuries between elderly and young population in Korea: applic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al concept vol.13, pp.5,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5.289
  4. Effects of Safety Awareness and Self-Efficacy on Safety Practice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ts: Focusing on the Changwon City vol.28, pp.2, 2016,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2.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