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fficiency Evaluation of Public Health Center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Focused on Public Health Centers of Gyeongnam Province-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보건사업의 효율성 평가 -경상남도 보건소를 중심으로-

  • 양종현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장동민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10.04.27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analyze the efficiency of 20 public health centers of Gyeongnam Province, so the reduction and weakness of input and output factor were found. We used the CCR, BCC model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as a method of evaluation, made a choice human resource as the input variable, made a selection the performance of health care center, ward as the output variable. The results show that 12(60%) public health centers in 20 were productive with respective to overall Technical Efficiency(average score 0.868), 14(70%) with respective to overall Pure Technical Efficiency(average score 0.924) and 12(60%) with respective to overall Scale Efficiency(average score 0.933).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an provide a good data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ublic health centers.

본 연구는 경상남도 20개 보건소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비효율 보건소의 개선 목표치를 제시함으로써 효율성 제고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효율성 평가방법으로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의 CCR, BCC 모형을 이용하여 보건소의 전체적 효율성과 사업 영역별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투입변수로는 인력(의료직, 간호직, 보건직, 사무직)을 선정하였고 산출변수로는 보건소 사업(진료, 보건교육, 구강보건, 예방접종, 노인보건, 모자보건)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술효율성(TE) 평균은 0.868이었으며, 12개(60%) 보건소가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순수기술효율성(PTE)의 평균은 0.924이었으며, 14개(70%) 보건소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규모의 효율성(SE)의 평균은 0.933이었으며, 12개(60%)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건사업의 체계적인 기획, 수행 및 평가를 통해 보건소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지역민에게는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순혁, "지역 보건의료 서비스 운영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9.
  2. 김재윤, 김영한, "자료포락분석에 의한 전남지역 보건소의 효율성 평가", 한국기업경영학회, 제16권, 제1호, pp.273-288, 2009.
  3. 김진현, 유왕근, "보건소 보건사업의 효율성 평가와 정책적 의의", 보건행정학회지, 제9권, 제4호, pp.87-119, 1999.
  4. 유금록, "부트스트랩 자료포락분석에 의한 공공부문의 효율성과 결정요인의 경험적 평가", 한국정책학회, 제17권, 제2호, pp.291-366, 2008.
  5. 유금록, "지방정부관료제의 효율성 평가", 한국지방재정학회, 제13권, 제2호, pp.1-26, 2008.
  6. 송명섭, "지방공사 의료원의 효율적 경영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경영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6.
  7. Farrell MJ,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120, 1957.
  8. Charnes A, Cooper WW, Rhodes E,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pp.29-44, 1978.
  9. Banker RD, Conrad RF, Strauss RP, "An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to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a hospital production function", Management Science 32, pp.30-34, 1986. https://doi.org/10.1287/mnsc.32.1.30
  10. Shephard RW, "Theory of cost and production func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0.
  11. Valdmanis V, "Ownership and technical efficiency of hospital", Medical Care 28, 1990.
  12. Grosskopf S, Valdmanis Y, "Measuring hospital efficiency", Journal of Health Economics, 89-108, 1987.
  13. Pina V, Torres L,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nonprofit organization", Financial Accountability and Management 8:13-224, 1992. https://doi.org/10.1111/j.1468-0408.1992.tb00138.x
  14. Burgess JF, Wilson PW, "Variation in inefficiency among US hospitals", INFOR, 36(3), 1998.
  15. 박종원, "Data Envelopment Analysis를 이용한 보건 소 운영의 효율성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1993.
  16. 정윤수, "자료포락모형을 이용한 효율성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제5권 제1호, pp.277-292, 1995.
  17. 천동환, "보건소 효율성 평가 및 관련 요인 분석: 부산광역시 사례",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4.

Cited by

  1. An Efficiency Evaluation of Gyeongnam Public Health Center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vol.12, pp.8,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8.3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