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hanges in Cheong-gye-cheon & in Media Discourse: Based on Media Discoruse During 1960s, 1980s, and 2005 in Each Period

청계천 공간의 변화와 시기별 미디어 담론 변화에 대한 일 사례 고찰: 조선일보의 1960년대, 1980년대, 2005년 담론을 중심으로

  • Kim, Byung-Wook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s, Korea University) ;
  • Eom, Jeong-Yoon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s, Korea University) ;
  • Kim, Seung-Hyun (Dep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s, Korea University)
  • 김병욱 (고려대학교 언론학부 대학원) ;
  • 엄정윤 (고려대학교 언론학부 대학원) ;
  • 김승현 (고려대학교 언론학부)
  • Received : 2010.05.31
  • Accepted : 2010.07.18
  • Published : 2010.08.15

Abstract

This study interprets Cheong-gye-cheon restoration as a process of space production during expansion of capitalism, and performs discourse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at how media discourse has been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Cheong-gye-cheon space in each period of historical changes. This paper is particularly concentrating on discovering regulation in discourse which connects people's experiences and perception towards certain w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wly producted space and media discourse. This paper construes the period of 1960s as a process which pre-modern bodies and facilities were changed into modern and urban 'daily life' by practicing a space which splitted in a concept of time efficiency. In 1980s, media represented the facilities which had been constructed at the Cheong-gye-cheon space as a 'disqualified facilities for a center of the city'. This is because, tertiary industries were emerged at the 'Gang-nam' in this period which widen the gap of finance between 'Gang-nam' and 'Gang-Buk'. The government wanted to redevelop this space in order to function accumulating capital efficiently. Therefore shop owners nearby Cheong-gye-cheon were forced to move out. The discourse, 'disqualified facilities for a center of the city', implicates this process. The media discourse in the 2000s produced the 'myth' through the 'signifier' such as artificially flowing water, fine scenery, historical but artificial structure and etc.. However, people can experience symbols of the artificial structures which leads people to the luxurious restaurants, coffee shops, and etc.. Naturally, the spectacles produced by media direct people to the homogeneous pattern of consume. This phenomena can be explained as a process which people practice, intentionally or non-intentionally, the capitalistic mode of production which changed from a period of production to a period of consumption.

본 연구는 청계천 공간의 역사적 변화 시기마다 미디어 담론이 청계천 공간 생산과 어떻게 관련을 맺게 되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고 담론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청계천 공간의 생산과 미디어 담론의 관계 속에서 사람들의 경험과 인식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는 담론의 규칙성을 찾는 작업에 주력하였으며, 그 결과 청계천 복원을 자본주의 확장 과정에서의 공간 생산과정으로 해석하게 되었다. 1960년대 미디어 담론의 하나로서 전근대적 육체와 시설이 시간의 효율성으로 쪼개진 공간을 실천하면서 근대적이고 도시적인 '일상'으로 전환되는 부분이 관찰되었다. 이후 1980년대의 담론 중에서 청계천은 '도심 부적격 시설'이 밀집된 공간으로 재현되는 경우들이 있었는데, 이 시기에는 세계적 경기 침체의 영향을 받으며 자본축적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게 된 청계천 공간에서 이질적인 정체성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질적인 정체성이란 다시 말해, 청계천 공구상가의 구조적 양식을 잉태한 청계천 공간의 '장소성'으로서, 담론화 과정을 통해 자본 축적의 효율성을 담당하지 못하고 있었던 청계천 공간에 대한 '평가절하' 및 '가치파괴'로 재현되었고, 2000-이후 환경 및 역사를 복원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상상'으로 이어져 청계천 복원을 이끌어 내게 되었다. 2005-복원된 청계천 공간은 청계천에 흐르는 물과 녹색 풍경, 역사적 구조물, 문화시설 등의 기표들을 통해 하나의 신화를 만들어내는데, 이러한 신화 속에서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동질화된 소비 패턴을 실천하게 된다는 점에 주목하게 된다. 이는 생산의 시대에서 소비의 시대로 전환하는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을 의도적으로 혹은 비의도적으로 담론화 하는 과정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