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ra and the Conditions of Mankyua chejuense Habitats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환경 및 식물상

  • Received : 2010.04.22
  • Accepted : 2010.08.17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distribution of the Mankyua chejuense was restricted to the northeast region of Jeju Island. It grows in the isolated pit crater-like swamp areas of various extent and shape, where the height is lower compared to the adjacent areas, and the adjacent regions contained a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 shrubbery, and a grassland vegetation. It contained 147 taxa of 61 families, 112 genera and 147 species in the habitats. The life form of the flora showed that the habitat of M. chejuense is different from the surrounding others, in particular, the ratio of the Therophytes and the Hydrophytes appeared highly. Preservation of habitat conditions is very important for stable maintenance the flora, and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habitats has to be designated a protection area for habitat preservation.

제주고사리삼은 제주도의 동북부 지역에 매우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이 일대는 상록활엽수림 및 관목림, 초지 등의 식생이 분포하고 있으며, 제주고사리삼 자생지는 이들 지역에 독립적인 소택지 형태로 나타났다. 자생지는 지형적으로 주변 보다 낮은 함몰구 형태로써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자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61과 112속 147종 총 1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피자식물이 136 분류군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제주고사리삼 자생지 내의 식물상에 대한 생활형 분석 결과 주변의 식생과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며, 특히, 일년생식물과 수생식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식물상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자생지환경의 보존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생지를 포함한 주변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보호구역 설정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Koh, J.-G., M.-O. Moon, and C.-S. Kim. 2008. Flora of Baengnokdam Crater and Dongsuak Crater of Mt. Hall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lant and Environmental Design (1):1-11.(in Korean)
  2.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1.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 Environ. Biol. 18(1): 163-198. (in Korean).
  3. Kim, C.-H. 2004. Conservation Status of the Endemic Fern Mankyayua Chejuense(Ophioglossaceae) on Cheju Island, Republic of Korea. Oryx 38:2 217-219.
  4. Raunkiaer C. 1934.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Charendon Press. p.632.
  5. Kim, C.-S., J.-G. Koh, M.-O. Moon, G.-P. Song, H.-J. Hyun, K.-M. Song and M.-H. Kim. 2007. Flora and Life Form spectrum of Hallasan Natural Reserve,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6(11): 1257-1269.(in Korean) https://doi.org/10.5322/JES.2007.16.11.1257
  6. Sun, B.-Y., M.-H. Kim, C.-H. Kim, and C.-W. Park. 2001. Mankyua(Ophioglossaceae): a New Fern Genus from Cheju Island, Korea. Taxon 50: 1019-1024. https://doi.org/10.2307/1224718
  7. Sun, B.-Y. 2002. Characteristics of fern flora of Korea with emphasis on the endemic genus Mankyua(Ophioglossaceae) from Cheju Island, Korea. First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 Hungary Academy of Science Bilateral Symposium Proceedings 1: 62-68.
  8. 김문홍, 송국만. 2005. 동백동산의 식물상 (2005 전국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제주도(동백 동산․용수저수지)). pp. 23-40.
  9. 김종원, 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서울. pp. 154-168.
  10. 김찬수, 고정군, 문명옥, 송관필, 김대신, 송국만. 2008. 제주지역의 희귀식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pp. 298-299.
  11. 문명옥. 2007. 제주도의 양치식물상.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1-115.
  12. 선병윤. 2006. 우리나라 산림유전자원의 다양성과 제주고사리삼의 진화적 특성-산림유전자원 보존.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pp. 25-40.
  13. 송관필. 2007. 한라산 동서사면 상록활엽수림대의 식물상 및 식생.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pp. 48-59.
  14.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15. 임양재, 박기현, 심재국. 1982. 한국에서의 Raunkiaer 생활형의 지리적 분포. 중앙대학교기술 과학연구논문집 9: 5-20.
  16. 환경부. 2005. 환경백서. pp. 329-331.
  17. 환경부. 2007.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pp. 127-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