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Qigong Position on Electroencephalogram

기공(氣功) 자세(姿勢)가 뇌파에 미치는 영향

  • Jung, Dae-Sun (Department of Qigong,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Han, Chang-Hyun (Center for Medical History and Literatur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Park, Soo-Jin (Department of Pharmacology and Pharmacogenomics Research Center,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
  • Lee, Sang-Nam (Department of Qigong,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Park, Ji-Ha (Department of Qigong,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정대선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기공학교실) ;
  • 한창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센터) ;
  • 박수진 (인제대학교 약리학교실 약물유전체연구센터) ;
  • 이상남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기공학교실) ;
  • 박지하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기공학교실)
  • Received : 2010.03.02
  • Accepted : 2010.03.18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ur common types of Qigong position (standing, sitting, supine, and horse-riding position)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irty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ce a week for four weeks. Electroencephalogram (EEG) was measured three time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osition) while the subject maintained one of four positions for ten minute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HRV components compared with EEG power spectra in the standing position. Especially, the ratio of low-to-high frequency (LF/HF) which represents a state of balanc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was increased. In the sitting position, $\beta$ wave which reflects a state of alert consciousness was increased and both the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es were activ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spine position, $\theta$ wave which signifies a state of relaxation was increased and heart rate (HR) was decreased. Activation of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es was also observed in this position. Significant increases of indices related to awakening and concentration were observed accompanied by increase of HR and a sympathetic nerve was activated in the riding-horse position. In the present study, it was shown that each Qigong position caused various and significant changes in autonomic nervous system. It would be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in the choice of appropriate Qigong position according to objective of Qigong therapy although it is remained to further evaluate the effects of long-term maintenance of Qigong positions and repeated Qigong training.

Keywords

References

  1. 남철현 외 編著. 豫防醫學과 保健學. 癸丑文化史. 1996.4.
  2. 이상남, 한창현, 박수진, 권영규. 국내 氣功修鍊 團體別呼吸修鍊 비교.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2008;14(1):73-83.
  3. 홍원식 譯, 校勘直譯黃帝內經素問. 서울. 傳統文化硏究會. 1996:51, 158.
  4. 姜孝信. 東樞撮要. 서울:의학사. 1984.3.
  5. 楊維傑 註. 黃帝內經素問譯解 1. 서울:대성문화사. 1990:105.
  6. 洪元植 校訂.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동양의학연구원. 1985:44.
  7. 배병철. 今釋黃帝內經靈樞 1. 서울:성보사. 1995:545.
  8. 洪元植 校訂. 精校黃帝內經靈樞. 서울:동양의학연구원. 1985:198.
  9. 신용철. 한방기공클리닉 1. 서울:북클럽. 1998:22.
  10. 楊思澍, 張樹生, 傳景華. 中醫臨床大全 1. 北京:北京科學技術出版社. 1994:1298.
  11. 陶秉福. 中國傳統氣功精華 1. 香淃:南奧出版社. 1992:1-2.
  12. 한청광. 養生大全 1. 서울:도서출판까치. 1993:467.
  13. 강효신, 이정호. 기공학. 서울:일중사. 1998:125.
  14. 신성원, 이재흥, 이은미. 기마자세에 관한 고찰.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3;7(1):98-126.
  15. 한창현, 이상남, 권영규, 최선미. 한국 저널에 게재된 기공관련 연구 동향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4):954-959.
  16. 김현태. 고전의서 중 도인기공법에 관한 문헌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7. 반창열, 지선영, 강효신. 삼일신고 진리훈에 나타난 기 공원리 및 한의학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0;4(2):153-86.
  18. 김길수, 구병수. 동의보감에 나타난 기공에 대한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8;9(2);111-130.
  19. 김성진, 지선영. 동의보감 내경편 신형문의 의료기공학 적 의의에 관한 고찰.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1;5(1):303-24.
  20. 김경철. 기공체조가 여성 견비통 환자의 생혈액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5):1516-19.
  21. 김종우, 오재근, 황의환. '내경일지선' 기공수련이 대학 생의 운동부하 스트레스 후의 심폐기능 및 Catecholamine 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6;7(1):39-48.
  22. 김경철, 김훈. 한방 기공체조가 심박변이율에 끼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3):544-547.
  23. 윤현민, 김미영, 김이순, 임진섭. 도인기공체조가 여성 의 견비통에 미치는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5;22(1):177-190.
  24. 강희훈, 강효신. 체열진단기에 의한 기공수련 전후의 체표온의 변화 관찰. 제한동의학술원논문집. 1997;2(1):71-82.
  25. 노일호, 김병완, 정광조, 조정효, 황상준, 오민석. 외기 요법이 체표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3;12(1):147-168.
  26. 강순수. 한의학에서의 기(氣)의 개념. 동서의학. 1980;5(1):36-8.
  27. 구병수. 기(氣)의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4;5(1):103-124.
  28. 최삼섭. 기에 (氣) 대한 소고(內經을 중심으로).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3;7(0):84-90.
  29. 정찬원, 최찬헌, 윤유식, 소철호, 나창수, 장경선. EEG, fMRI, EAV 및 SQUID장치를 이용한 기공현상 측정.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4;21(2):1-28.
  30. 김경환, 윤종화. 기공의 도인법과 12정경의 연관성에 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6;3(1):92-129.
  31. 김선민, 송일병. 동의수세보원사상본초권에서의 양생에 관한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2000;12(1):101-109.
  32. 이상남, 권영규. 어깨지지형 도립위가 기공수련 전후의 뇌파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4):918-928.
  33. 신성원, 이재흥, 이은미. 기마자세에 관한 고찰.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3;7(1):98-126.
  34. Murakawa Y, Ajiki K, Usui M, Yamashita T, Oikawa N, Inoue H. Parasympathetic activity is a major modulator of the circadian variability of heart rate in healthy subjects and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or diabetes mellitus. Am Heart J. 1993;126(1):108-14. https://doi.org/10.1016/S0002-8703(07)80016-0
  35. 전중선, 전세일, 조경자, 진미령, 김태선, 김덕용 외. 심박변동의 Power Spectrum 분석에 의한 정상 성인의 자율신경기능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1997;21(5):928-35.
  36. 박종관 저. 중국경기공. 서울:서림문화사. 1994:53-54.
  37. 강효신, 이정호. 기공학. 서울:일중사. 1998:125.
  38. 김길수, 구병수. 동의보감에 나타난 기공에 대한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8;9(2):111-130.
  39. 강효신, 이정호. 기공학. 서울:일중사. 1998:125-138.
  40. 이재흥, 이은미, 신성원. 기마자세에 관한 고찰.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3;7(1):98-126.
  41. 宋天彬 劉元亮 主編. 中國氣功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4:53.
  42. 강효신, 이정호. 기공학. 서울:일중사. 1998:128-130.
  43. 宋天彬 劉元亮 主編. 中國氣功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4:52.
  44. 박종관. 중국경기공. 서울:서림문화사. 1994:65.
  45. 박종관. 중국경기공. 서울:서림문화사. 1994:67.
  46. 정민영. 참장공 하나로 평생 건강을 지킨다. 서울:명진출판. 2001:17.
  47. 이재흥, 이은미, 신성원. 기마자세에 관한 고찰.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3;7(1):98-126.
  48. 윤중수. 임상뇌파학. 서울:고려의학. 2004:10.
  49. 이창섭, 노재영. 뇌파학입문. 하나의학사. 1997:47-57.
  50. 이광우, 김대식, 최장욱. 뇌파검사학. 고려의학. 2001:1-7.
  51. James R. Evans, Andrew Abarbanel. Introduction to quantitative EEG and neurofeedback. San Diego, California:Academic Press. 1999:29-64, 83-143.
  52. 이시영. 뇌파 신호를 이용한 집중력 향상 게임에 대한 연구. 우송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3. 심준영, 성인제. 뇌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집중력 및 전두부 뇌파 활성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009;18(3):19-36.
  54. John N. Demos. Getting Started with Neurofeedback. Newyork:Norton&Company. 2005:112-21.
  55. 전국한의과대학 진단생기능의학 교실. 생기능의학. 군자출판사. 2008: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