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독이 우울증 모델 흰쥐에게 미치는 영향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depressive Effect of Bee Venom Injection

  • 이진희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김근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구병수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Lee, Jin-Hee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Geun-Woo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oo, Byung-Soo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투고 : 2010.05.10
  • 심사 : 2010.06.02
  • 발행 : 2010.06.30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nti-depressive effects of Bee Venom(BV) on an Animal Model of Depression induced immobility stress. Methods : There was 2 pre-experiments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and Western blot test and 3 main experiments ; forced swimming test, tail suspension test and Y-maze task. Male rats were used for main experiment. The subject was divided into 4 groups(1. control group injected only saline, without immobility stress 2. Negative group injected saline after 2 hours immobility stress 3. Positive group injected Amitriptyline after 2 hours immobility stress 4. BV group injected Bee Venom after 2 hours immobility stress). Each group consisted of 6 rats. Forced swimming test, tail suspension test, Y-maze task were used to evaluate anti-depressive effect of Bee Venom. Results : In MTT assay, as the density of BV increased, the existence rate of primary neuronal cell increased. In Western blot test, the density of CREB and AKT was increasing as time went by. In forced swimming test, BV group showed immobility decreased more than Normal group and Positive group. In tail suspension test, Normal group and Positive group showed immobility decreased more than BV group. In Y-maze task, BV group showed immobility decreased more than Normal group, but Positive group showed immobility decreased more than BV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e Venom may have anti-depressive effect on depres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과학. 서울:하나 의학사. 1998:361-86.
  2.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편. 한방신경정신의학. 경기:집문당. 2005:254-6, 482-6.
  3. 이경우 역. 編注譯解 황제내경 영추. 서울:여강출판사. 2000:211-6.
  4. 한윤승. 加減蘇合香元 향기흡입 및 경구투여 가 마우스의 우울증 억제효과에 미치는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2006.
  5. 강준. 봉약침액과 Melittin이 RAW 264.7 세포 의 NO, iNOS 및 MAPK에 미치는 영향. 2003. 경원대학교대학원.
  6. 권기록, 고형균. 봉약침요법의 면역반응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0;17(1) :169-74.
  7. 고형균, 권기록, 인창식. 봉독약침용법. 서울: 경희대학교출판국. 2003:1-5, 105-62, 214.
  8. 신용승. 도해임상봉약침요법. 서울:의성당. 2004 :39-40, 44, 53-4.
  9. 이진선, 권기록, 최호영. HPLC를 이용한 봉약침의 주요 성분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0;17(4):120-9.
  10. 김혜남. 봉독 약침 자극이 뇌간 신경 세포와 serotonin 성 신경 세포의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 침구학회지. 2000;17(2):119-38.
  11. 박장우. 봉독의 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대전대학교대학원. 2006.
  12. 김용구. 주요우울증에 사이토카인- 세로토닌 상호작용에 의한 신경병성 가설,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2004;43(4):386-92..
  13. Sladowski. D, Steer SL, Clothier RH, Balls M. An improved MTT assay. J. Immunol. Methods. 1993;157:203-7. https://doi.org/10.1016/0022-1759(93)90088-O
  14. Porslot RD, Le Pichon M, Jalfre M. Depression : a new animail model sensitive to antidepressant treatments. Nature. 1997;226(5604):730-2.
  15. Steru L, Chermat R, Thierry B, Simon P. The tailsuspension test: A new method for screening antidepressant in mice. Psychopharmacology. 1985;85(3):367-70. https://doi.org/10.1007/BF00428203
  16. E. Braunwald. 해리슨 내과학. 서울:정담. 2003 :2627-30.
  17. 이광헌. 우울증 약물 치료의 최신 경향. 동국논집. 2000;19:274.
  18. 김용구. 우울증에서 cytokines의 역할과 치료적 연관성.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00;11(4) :304-11.
  19. 이민수, 한창수, 김용구. 우울 장애의 세로토닌 전달체 유전자 다형성. 생물치료정신의학. 2002;8(1):88-95.
  20. 허준. 동의보감. 경남:동의보감출판사. 2005:77, 91.
  21. 이경우 역. 編注譯解 황제내경 소문 5권. 서울:여강출판사. 2000:279-88, 330-5.
  22. 김여진, 박동석, 이윤호. 우울증의 침구치료에 관한 중의문헌의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5;22(1):223-4.
  23. 홍성유, 박선동. 柴胡가 우울증 모델 白鼠의 catecholamine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3;18(4):245-53.
  24. 백현. 甘麥大棗湯이 신체부동 스트레스 白鼠에 미치는 영향. 2006. 동국대학교 대학원.
  25. 이상택. 三精丸의 항우울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8;101-15.
  26. K. McKenzie. 우울증. 서울:아카데미아. 2005: 9, 81-114.
  27. 최정식, 박장우, 오민석. 봉독요법의 항염증 기전 연구에 관한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6;15(10):142-5.
  28. 이주연, 김인자, 최방섭, 김근우, 구병수. 봉독이 Glioma Cell에 미치는 효과.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8;19(3):117-27.
  29. 권도희, 이재동, 최도영. 약침용 봉독성분 중 Apamin, Melittin, Phospholipase A2의 항암 작용. 대한침구학회지. 2001;18(1):129-45.
  30. 김용구. 우울증의 새로운 신경생물학. 생물정신의학. 2001;8(1):3-4.
  31. 이홍석, 이재동, 고형균. 최근 10년간 국내의 봉독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 대한 침구 학회지. 2003;20(3):154-65.
  32. 남윤영, 전우택. 우울증의 신경생물학적인 최신지견.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02;22(2) :169-77.
  33. William A. Carlezon. The many faces of CREB. Trends in Neurosciences. 2005;28(8) :436-43. https://doi.org/10.1016/j.tins.2005.06.005
  34. Julie A. Blendy. The Role of CREB in Depression and Antidepressant Treatment. Society of Biological Psychiatry. 2006;1144-50.
  35. Eero Castren: Neurotrophic effects of antidepressant drugs. 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2004;4:58-64. https://doi.org/10.1016/j.coph.2003.10.004
  36. Joseph Peltier. PI3K/Akt and CREB Regulate Adult Neural Hippocampal Progenitor Proliferation and Diffrentiation. Developmental Neurobiology. 2007:1348-56.
  37. Lars P, van der Heide. Insulin signaling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Learing to survive. Progress in Neurobiology. 2006;79 :205-21. https://doi.org/10.1016/j.pneurobio.2006.06.003
  38. 윤성환, 김재홍, 김영훈. 백서 강제수영모델의 부동시간 단축에 미치는 항우울제의 개선 효과에 대한 도파민 및 노르아드레날린계 약물의 영향. 신경정신의학. 1996;35(6):1476-86.
  39. 조선영, 이기철, 이정호, 김현택. 선택적 세로 토닌 재흡수 차단제인 fluoxetine이 우울증을 야기시킨 쥐의 수동적 회피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996;8(1):4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