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stimation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the repair and replacement cycle of a building

건축물 수선교체주기 산정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종록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
  • 손재호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09.12.01
  • Accepted : 2009.12.16
  • Published : 2010.02.20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presenting the improvement plan for estimation of the repair and replacement cycle to analyze these current problems by considering the repair and replacement cycle theoretically and examining estimation status of home and abroad, and then drawing implication and problem based on brainstorming and expert opinion. The findings of a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is, for the domestic, that there is no clear standard of division to the cycle of repair and replacement and the repair and replacement cycle considering capability to deal with the change by construction method, development of the function of material and the number of years of progress is not being applied. That is, an estimation of economical repair and replacement cycle which considers the case that a large scale repair with the level of remodeling is done between 25 years and 35 years is necessary. For estimating the repair and replacement cycle, foreign country is providing this according to the use or the level of function of a building, but it is not the case for the domestic. A characteristic of each building should be reflected and the standard of estimation of the repair and replacement cycle to new construction material or method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this. In addition,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the subject item for the repair and replacement is necessary to be reorganized to be able to apply the standard of initial construction item of a building. Also, it is considered that a service standard which can reset the repair and replacement cycle based on status of a building with escape from the existing definite setup of the repair and replacement cycle through the management of background data of the repair and replacement is going to be necessary.

연구의 수행결과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제점으로는 국내의 경우 수선주기와 교체주기에 대한 명확한 구분기준이 없으며 건축공법과 재료성능의 발달 및 건물의 경과연수에 따른 변화대응력을 감안한 수선교체주기를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즉 25~35년 사이에 리모델링 수준의 대규모 개수가 이루어 질 경우를 고려한 경제적인 수선교체주기의 산정이 필요하다. 수선교체주기의 산정에 있어 외국의 경우, 건물의 용도나 성능수준에 따라 이를 규정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한 현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별건물의 특성을 반영하고, 새로운 건축재료나 공법에 대해 수선교체주기 산정기준을 마련하여야 하며 더불어 수선교체 대상항목의 분류 방식이 건축물 초기공사항목의 기준을 적용할 수 있도록 재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수선교체 이력데이터의 관리를 통해 기존의 확정적 수선교체주기설정에서 벗어나 건축물의 상태에 기반하여 수선교체주기를 재설정할 할 수 있는 업무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은형, 공동주택의 노후 및 유지관리비실태를 고려한 최적경제수명 추정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98
  2. 이덕찬 외, 공동주택의 LCC검토서 작성 및 평가지침 개발, 주택공사주택연구소, 2000
  3. 전익성 외, Life-cycle Management를 활용한 공공시설 유지관리 시스템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2004
  4. 조달청, 총 생애주기비용(LCC) 평가기준모델 연구 최종 보고서, 2007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의 최적유지관리 모형개발(II), 1994
  6. 柳瀨正敏, 建築物の情報管理とファシリティマネジメント, 廘島出版會, 2000
  7. FM推進連絡協議會, ファシリティマネジメント, 日本經濟新聞社, 2004

Cited by

  1. Proposal of direc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loan programs for the promotion of apartment houses maintenance in Korea vol.15, pp.6, 2011, https://doi.org/10.1016/j.rser.2011.03.030
  2. Analysis of the Breakdown repair time of the Building Components in Public Rental-Housing Types vol.13, pp.6, 2013, https://doi.org/10.12813/kieae.2013.13.6.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