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nstruction Field Management Model based on BIM

BIM기반 건설현장 관리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9.10.30
  • Accepted : 2009.12.31
  • Published : 2010.02.20

Abstract

As the amoun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used in the growing construction field increases, the importance of efficient construction field management has been growing.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the application situation and possibility of BIM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s and domestic & overseas case studies of BIM, and attempts to suggest an approach to the formulation of an efficient construction field management model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phase-oriented and cooperation entity-oriented analysis in the construction field. In the futu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hould be used to formulate an actual construction field management model and apply it in the field.

복합, 대형화되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정보들의 양은 방대해지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건설현장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M의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서 BIM의 적용 현황 및 가능성을 파악하고 건설현장의 수행단계별, 협업주체별 중심의 분석을 통해서 효율적인 건설현장 관리모델의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BIM을 적용하여 목적 건축물의 3D Modeling을 통한 2D 도면의 시각화, 도면 오류의 사전 발췌로 시간적,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 3D 모델의 물량정보로 예산 작성의 정확성을 향상, 정확한 도면의 건축정보와 물량정보로 공사 진행 방향 설정에 확실성을 부여 및 부위별 객체 정보를 포함한 BIM기반의 건설정보를 바탕으로 공정관리를 통한 원가관리, 품질관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BIM정보를 통합하고 연계함으로써 현장과 각 협업주체들 간의 건설현장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추후에는 실제 건설현장 관리모델을 구축하고 실제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검증을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언용, 지능형 디지털 아키텍처 도구와 bim 패러다임, 건축 Special issue 디지털 아키텍처, 2005
  2. 김인한 외, 건설 산업의 BIM 적용기술 동향 및 전망,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8.7
  3. 박수훈, BIM 설계툴의 초기도입현황과 건물성능분석으로의 방향, 한밭大學校 論文集 제24호, 2007.12
  4. 이한민, BIM 구축을 위한 건설정보 통합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8
  5. http://aecbytes.com/buildingthefuture/2007/BIM_Awards_Part1.html
  6. http://olv.moazine.com/rviewer/index.asp
  7. John Wiley & Sons International Rights, Inc, BIM Handbook, 2008
  8. NIBS, National BIM Standard Version 1.0-Part 1 : Principles, and Methodology by NIBS

Cited by

  1. Application and Effects Analysis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Construction Management of a Construction Field vol.15, pp.1, 2015, https://doi.org/10.5345/JKIBC.2015.15.1.115
  2. Development of BIM Functions and System for Construction Project Through Project Life Cycle -Focusing on Bridge Construction Project- vol.13, pp.2, 2012, https://doi.org/10.6106/KJCEM.2012.13.2.011
  3. A Study for Derivation of Participant's Information Flow At Framework Construction based on BIM vol.14, pp.2,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2.022
  4. A Study on Standardization for Civil-BIM Construction of Harbor Structure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Technique vol.20, pp.3, 2012, https://doi.org/10.7319/kogsis.2012.20.3.083
  5. A Study of BIM-based Construction Management Work Process Development in Design Phase vol.14, pp.6,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