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for Vulnerability Analysis and Guideline about Social Personal Broadcasting Service based on Smart-Phone Environment (focus on SNS or U-Health)

스마트폰 환경 하에서 소셜 개인방송 서비스의 취약점 분석과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SNS 및 U-Health를 중심으로)

  • 강장묵 (동국대학교 전자상거래연구소) ;
  • 이우진 (세종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송유진 (동국대학교 정보경영학과)
  • Received : 2010.09.23
  • Accepted : 2010.12.15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Social individualized broadcasting increases rapidly in an environment that combines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Real-time individualized broadcasting is a service that is provided by multiple individuals to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In contrast, newly introduced individualized broadcasting service is a service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socially and culturally and therefore many problems are expected. The newly emerging real-time individualized broadcasting service may bring about various dysfunctions as well as desirable functions. Establishment of guideline and its implementation based in vulnerability analysis are necessary to prevent the expected dysfunctions and reinforce the desirable func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ysfunctions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hich threaten cyber-norms, cyber-morality, cyber-dangers, cyber-democracy, etc. at the level of social individualized broadcasting service and to propose appropriate guidelines. Through this paper, first, future changes of dysfunctions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due to individualized broadcasting service can be forecast, and countermeasures and policy directions can be proposed. Second, Dysfunctions of ICT-based service that may emerge in individualized broadcasting service can be forecast and correct guideline can be prepared to reduce potential dangers and increase desirable functions of the service. This paper will analyze in various aspects the characteristics of a new media with the focus on individualized broadcasting service among the new ICT-integrated services, and forecast the appearance and aggravation of the dysfunctions and then draw the guideline.

통신과 방송의 융합 환경에서 소셜한 개인 방송은 급속하게 증가한다. 실시간 개인방송은 다수의 개인이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반면 새롭게 소개되는 개인방송 서비스는 사회, 문화적으로 경험하지 못한 서비스로서 많은 문제점도 예상된다. 새롭게 등장한 실시간 개인방송 서비스는 그 순기능 못지않게 다양한 역기능이 예상된다. 예측된 역기능을 미연에 방지하고 서비스의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취약점 분석을 기반으로 한 이용방안(가이드라인)의 조성과 실천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은 사이버규범, 사이버윤리, 사이버위험, 사이버민주주의 등을 위협하는 정보화의 역기능을 소셜한 개인방송 서비스 수준에서 점검하고 이에 적절한 이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첫째, 개인방송 서비스에 따른 정보화 역기능 미래 변화 예측 및 대응 전략 그리고 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개인방송 서비스에서 새롭게 등장할 수 있는 ICT 기반 서비스의 역기능을 예측하고 바른 이용자 가이드 라인을 마련하여 잠재적 위험 요소를 줄이고 서비스의 순기능을 늘릴 수 있다. 이 글은 신규 ICT융합서비스 중 실시간 개인방송 서비스를 중심으로 뉴미디어적인 특성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역기능 출현 및 심화에 대해 예측한 후,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장묵 (2009), 뉴미디어와 소통의 정치학, 서울: 한울. p.15.
  2. 김종길.김문조 (2006), 디지털 한국 사회의 이해, 서울: 집문당, pp. 205-211.
  3. 이원태.차재권.홍순식(2008), 웹2.0시대 의사결정방식의 변화와 정책적 대응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14.
  4. 고상민.황보환.지용구(2008),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한국과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5권 제1호, p.12.
  5. Comm, Joel. Robbins, Anthony. Burge, Ken. (2009). Twitter Power(How to Dominate Your Market One Tweet at a Time), Wiley, p. 177.
  6. Flores Vivar, Jesus Miguel. (2009). "New Models of Communication, Profiles and Trends in Social Networks." COMUNICAR 33, pp. 73-81. http://www.revistacomunicar.com/numeros_anteriores/archivospdf/33/c33-2009-02-007.pdf(검색일:2010.09.)
  7. OECD (1980). OECD Guidelines on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ransborder Flows of Personal Data. Paris: OECD.http://www.oecd.org/document /20/0,3343,en_2649_34255_15589524_1_1_1_1,00.html(검색일 : 2010.06.)
  8. Lih, Andrew.(2009). Wikipedia Revolution, The: How a Bunch of Nobodies Created the World's Greatest Encyclopedia. Hyperion, p.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