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ndwater Flow Modeling and Suggestion for Pumping Rate Restriction around K-1 Oil Stockpiling Base with Geological Consideration

지질조건을 고려한 K-1 비축기지 주변의 지하수 모델링과 양수량 제한구역 제안

  • Moon, Sang-Ho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
  • Kim, Kue-Young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
  • Ha, Kyoo-Chul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
  • Kim, Young-Seog (Department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Won, Chong-Ho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Water)) ;
  • Lee, Jin-Yong (Department of Ge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문상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김구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하규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김영석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원종호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
  • 이진용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Received : 2010.04.29
  • Accepted : 2010.06.22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simulating several responses to stresses caused by the ground water level variations around the K-1 oil stockpile. For this simulation, w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hydrogeological condition including the special occurrence of long and thick acidic dyke, which is regarded as the main geological structure dominating the ground water flow system at this study area. We activated twenty-four imaginary wells which are located in northern and southern area around central K-1 site. Each neighboring distance is altogether 300 m and whole distance between K-1 site and remote wells is 1,200 m. Through the modeling, we operated the long-term and continuous pumping tests and finally categorized five zones based on maximum pumping rates for the imaginary wells; zone I within 300 meter distance from K-1 site with a pumping rate of 50 $m^3/day$; zone II between 300 to 600 meter distance from K-1 site with a pumping rate of 75 $m^3/day$; zone III between 600 to 900 meter distance from K-1 site with 150 $m^3/day$; zone IV between 900 to 1,200 meter distance from K-1 site with 300 $m^3/day$; and zone V of acidic dyke area. At zone V, especially because of their possibility of high transmissivity for groundwater flow, it is necessary to control and restrict groundwater discharge.

지질구조 요소 중 산성 암맥은 K-1 유류비축기지에서 지하수 유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산성 암맥의 산출 특성과 기지 주변의 수리지질학적 조건을 토대로 지하수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가능한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기지 인근 지역의 지하수위 변화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모의하였다. 기지 주변에서 24개의 가상적인 우물들을 활성화하고 4단계 양수량 변화에 따른 수위 영향반경의 변화를 고려함으로써, 비축기지 내 안정적 수위 유지를 위해 다음과 같이 5개의 구획을 구분하여 양수량 제한 구역 설정을 제안하였다; zone I (기지에서 300 m 이내 범위), 50 $m^3/day$ 이하; zone II (기지에서 300~600 m 범위), 75 $m^3/day$ 이하; zone III (기지에서 600~900 m 범위), 150 $m^3/day$ 이하; zone IV (기지에서 900~1,200 m 범위), 300 $m^3/day$ 이하; zone V (산성암맥 주변). 산성 암맥을 따른 zone V에서는 맥암으로부터 70~100 m 거리까지 양수의 영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다른 지점들에 비해 특별히 지하수 사용에 대한 제한과 주의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6, 지하수 장해우려지역 대책방안 연구 보고서, 409p.
  2. 건설교통부, 2006, 지하수 업무수행 지침, 333p.
  3.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7, 지하수관리 기본계획 (2007-2011) 보고서, 378p.
  4. 김호영, 김중현, 2005, 석유류 지하저장 시설의 현황과 전망,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42, 280-286.
  5. 김형찬, 배두종, 1994, 서울 광장지구 온천공조사 보고서, KIGAM 94-12(No. 158), 96p.
  6. 문상호, 김영석, 하규철, 원종호, 이진용, 2010, K-1 기지 주변 지질 구조와 지하수위 변동 특성, 자원환경지질, 43, 149-162.
  7. 정일문, 김지태, 조원철, 김남원, 2008, 고유치 수치기법을 이용한 지하저장공동 주위의 용질이동해석, 지질공학회지, 18, 381-391.
  8. 정현영, 송무영, 이경주, 2001, 지하 석유비축기지 주변의 지하수 개발에 의한 수리지질학적 영향의 수치해석 연구, 지질공학회지, 11, 37-50.
  9. (주)범양사, Geostock, 1976, 지질조사기술용역 종합보고서.
  10. 원종관, 백광호, 지정만, 구무옥, 안해룡, 1981, 한국 지질도 1:50,000, 뚝섬 도폭,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4p.
  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2, 온천전문검사의 합리화 방안, 112p.
  12. Goodall, D. C., Alberg, B. and Brekke, T. L., 1988 Fundamental of gas containment in unlined rock caverns. Rock Mechanics and Rock Engineering, 21, 235-258. https://doi.org/10.1007/BF01020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