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ional Economic Effects of The Development in New Port : Focused on Incheon Port

항만 개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 인천항을 중심으로 -

  • 유홍성 (인하대학교 경영학부) ;
  • 김연성 (인하대학교 경영학부) ;
  • 신진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 정벤윤 (동국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Received : 2010.07.31
  • Accepted : 2010.09.0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quantify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the development in Incheon New Port(Stage I) using a regional I/O tabl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aking policie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duction inducing effect 6,064.5 billion won on Incheon local economy from the development of port facilities at the Incheon New Port (Stage I) occupies 15.0% of 40,398.5 billion won the total production of the Incheon area in 2005, added value inducing effect 2,821.3 billion won occupies 7.7% of 36,508.0 billion won the total added value of the Incheon area in 2005, and induced new employment 72,424 workers occupies 9.0% of 808,248 workers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in the Incheon area in 2005. As presented above, the development in the Incheon New Port(Stage I) was expected to have huge spillover effects on Incheon local economy. Accordingly, the development in Incheon New Port must be promoted in a timely manner on national.

본 연구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인천신항 I단계 항만시설 및 배후단지 개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생산, 부가가치 및 취업 유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2006부터 2015년까지 3조 4,397억원이 투입되는 인천신항 I단계 개발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6조 645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조 8,213억원, 취업유발인원 72,424명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생산유발효과 6조 645억원은 2005년 인천 지역내 총생산 40조3,985억원의 15.0%, 부가가치유발효과 2조 8,213억원은 2005년 인천 지역내 총부가가치 36조5,080억원의 7.7%, 취업유발인원은 72,424명은 2005년 인천 지역내 취업자수 808,248명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 결과 인천신항 I단계 항만시설 및 배후물류단지의 개발이 인천 지역경제에 미치는 기여도가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인천신항의 개발은 인천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 제고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 적기에 추진되어야 한다.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항만의 기능은 과거 수송, 보관, 하역 등을 중심으로 하는 단순한 국제운송에서 공급사슬의 중심 연결고리로서 산업 물류 비지니스 공간인 동시에 물류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종합물류거점으로 확대되고 있어 이러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항만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초대형선의 등장과 장비의 대형화에 따라 대형 모선이 기항할 수 있는 종합물류중심의 거점항만으로 육성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000.
  2. 권태현, "SAS를 이용한 산업연관분석", 2004.
  3. 곽승준․유승훈․장정인,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산업이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해양정책연구 제17권제1호, 해양수산개발원, 2002.
  4. 김상춘․최봉호, "울산지역 항만산업의 구조 및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2008.
  5. 김학소.김의준.성숙경, "항만투자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0.
  6. 김흥배, 도지 및 지역경제 분석론, 기문당, 1995.
  7. 마문식.유홍성.김병일, "인천신항 배후물류단지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4호, 2009.
  8. 마문식, "인천항 배후물류단지 개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연구", 2009.
  9. 마산상공회의소, "마산항 활성화 방안", 1984.
  10. 부산발전시스템연구소, "부산항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1989.
  11. 부산항만공사, "부산지역 항만물류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2005.
  12. 배기형, "물류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물류학회지 제18권제1호,2008.
  13. 오성돈․기성래, "해운산업과 관련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9권, 한국해운물류학회, 2003.
  14. 이태호․장영태․신성호,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운송부문별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의 상호비교분석", 해운물류연구 제51호, 한국해운물류학회, 2006.
  15. 인천항만공사, "인천신항I단계산업 추진전략 수립연구", 2008.
  16. 인천항만공사, "인천신항 컨테이너터미널(I-1단계) 기초조사", 2008.
  17. 인천항만공사, "인천항이 인천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2009.
  18. 임정덕, "항만과 항만관련산업이 부산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권제2호, 2008.
  19. 정태원․이권형, "인천지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및 클러스터 육성방안", 인천발전연구원, IDI연구보고서 2006-16
  20. 중앙대학교 동북아물류유통연구소, "항만 개발․운영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 매뉴얼 개발",2009.
  21. 정분도.홍금우, "항만관련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3호, 2009.
  22. 정봉민.마문식.이호춘, "해운.항만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23. 정필수.마문식.조찬혁.전형진, "항만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운산업연구원, 1994.
  24. 채진규, "항만소득의 지역경제 기여도 분석", 한국산업경제연구, 창간호, 1989.
  25.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 해설", 2009.
  26. 해양수산부, "전국무역항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계획", 2006.
  27. 해양수산개발원,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2002.
  28. 해운산업연구원, "포항시 활성화 방안 연구", 1986.
  29. Miller, R. E., & Blair, P. D.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 and extensions, Prentice-Hall Inc.,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