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Ego integrity on QoL of Elderly Living Alone: Focused on Moderating Role of SF36 Health Factors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건강요인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Shin, Hakgene (Dept. of Social Welfare and Counselling, Jeonju Kijeon College) ;
  • Jeon, Sang-Nam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Yonsei University․) ;
  • You, Gil-Jun (Dept. of Social Welfare, Jeonju Kijeon College) ;
  • Lee, Eun-Yong (WanJu Rehabilitation Community Center)
  • 신학진 (주기전대학 사회복지상담과) ;
  • 전상남 (연세대학교 보건행정과) ;
  • 유길준 (전주기전대학 사회복지과) ;
  • 이은용 (완주군장애인복지관)
  • Received : 2010.08.19
  • Accepted : 2010.11.25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go integrity on QoL(Quality of Life) of elderly living alone, where we focused on moderating role of SF36 health factors.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effect of factors, we purposively collected 282 samples from senior welfare centers in Jeonju city and exploited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265 cases excluding some cases with missing values. As the results, first, we confirmed ego integrity was positive predictor of QoL. Second, it was proven that the effect of ego integrity on QoL of elderly living alone was stronger in the lower physical functioning group than higher physical functioning group. Third, we also verified that the group with more difficulties in activities or work as a result of poor physical health showed higher effect of ego integrity on QoL. Based on the results, we could explain the reason of conflicts regarding how elderly's health influenced on ego integrity. Also, in the practice of intervention to elderly's problem, we found the health factors could be an indicator of direction or effect of the intervention

본 논문은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또한 주관적 건강의 다양한 영역별 차이에 따라서 자아통합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검증했다. 설문조사를 위해서 전주시의 노인복지관 이용자 중에서 독거노인을 편의 추출하였고 265명이 분석대상이 되었다.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위해 자아통합감, 삶의 질 그리고 SF36 주관적 건강을 확인요인분석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과분석과 주관적 건강요인별로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분석결과로 첫째,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이 클수록 노인의 삶의 질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신체기능이 저조할수록 자아통합감은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했다. 셋째, 신체로 인한 역할 제한이 많을수록 자아통합감은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를 통해서 주관적 건강이 노년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반된 견해가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의 영역과 정도에 따라 개입 방향이나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