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for Model Development Concerning Advance Directive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Directives) 모형 개발을 위한 실증 연구

  • Hong, Seongae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홍성애 (공주대학교 영상보건대학 보건학부 보건행정학전공)
  • Received : 2010.08.26
  • Accepted : 2010.11.25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cucted to present a model of advance directives(AD) when a patient, who is in consciousness, shows a preference for an end of life care as an act of preparing for an uncertain situation that may arise in the forseeable futur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383 doctors/nurese and adults, who live in six cities and province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AD, attitude regarding a meaningless life-prolonging treatment, and moreover, an understanding of and a preference for AD. The research was done by the well-structured questionnaire. Also, SPSS 14.0 is used to analyse the collected data, focused on frequency analysis, avearage and standard deviation, X2 test.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ost of the surveyed doctors/nurese knew DNR orders and AD and a few of them used DNR orders and AD practically. Also,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negative conception of meaningless life-prolonging treatment among the responents, in addition, most of them agreed upon the idea of introducing AD to Korea, filling it out and making it legally effective. As a method of making AD out, the respondents wanted to use a form that mixed living will with an Power of Attorney in a document. Also, considering the appropriate time, respondents prefered when they are diagnosed with terminal illness. At the moment, the introductory model for AD, which is suitable for the Korean culture and current situation i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 the future, other researches should deal with specific measures that can lead to a social consensus to adopt AD in Korea.

본 연구는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하여 의식이 있을 때 임종기의 치료에 대한 선호도를 밝혀두는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Directives) 모형 개발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6개 시·도에 거주하는 의료인(의사/간호사)과 일반성인 383명을 대상으로 AD 관련 실태와 무의미한 연명 치료에 대한 태도, AD 모형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 χ2 test,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의료인들은 심폐소생거부권(DNR order)과 AD에 대해서 알고 있었으며, 소수이기는 하지만 병원 내규나 서식을 통해 활용하고 있었다.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우리나라에 AD를 도입하는 것과 AD를 작성하는 것에 동의하였고, AD가 법적 효력을 갖는 것에 찬성하였다. AD를 작성하는 방법으로는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을 혼합하는 유형을 희망했고, 문서로 작성하는 것을 희망했다. 또한 AD를 작성하는 시기로는 말기질환으로 진단받았을 때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문화와 실정에 맞는 AD 모형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AD 도입을 위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KRF-2008-332-B00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