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in S. Korea: Differences by Education Level

한국노인의 교육수준별 생활만족 결정요인: 사회적 관계 및 참여, 건강을 중심으로

  • Lee, Jungui (The Sloan Center on Aging and Work, Boston College)
  • 이정의 (보스톤대 고령화와 일 연구소)
  • Received : 2010.02.27
  • Accepted : 2010.08.28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As S. Korea is aging faster than any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there exists a need to understand how bes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in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adults aged 65 and older (n=4,155) drawn from the Wave I (2006)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run to assess the unique explanatory contribution of socio-demographics, social network, activity participation, and physical/psychological health on the life satisfaction. Three separate analyses were undertaken to note differences by education level: older adults with no formal education, those who had completed 9th grade, and those who had completed 12th grade and more. There are three main findings: 1) Physical/psychological health variables such as subjective health, regular exercise,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regardless of education level; 2) While social network and activity participation factor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of the two lower education groups, such factors don't affect the highest education group; 3)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and location of residence were significant demographic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regardless of education level. Implic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policy are discussed in this paper.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 속에서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한국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교육수준별로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6년 실시된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65세 이상 노인 4,155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교육수준별로 무학, 초중등, 고졸이상 집단을 구분한 후 각각에 대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교육수준별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 규칙적 운동, 우울감 등 건강관련 변인들은 교육수준과 관계없이 모든 한국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력이 낮은 집단에서는 사회적 관계 및 참여 변인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무학집단의 경우 친구만남과 자녀만남이, 초중등집단에서는 자녀만남, 직업, 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녀와의 만남이 공히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졸이상 집단에서는 사회적 관계 및 참여 변인들 중 어떠한 변인도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결혼상태와 소득수준, 거주지 변인은 모든 교육수준에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으며 특히 결혼상태의 상대적 영향력은 모든 교육수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고령화 사회가 가져오는 국가적인 관심과 영향을 생각할 때 전국적 표집을 이용하여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노인학 분야 뿐만 아니라 교육학, 사회복지학 등에서 노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갖게 하는 연구가 되며 이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정책 수립과 프로그램 개발 등 정책적, 실천적 측면에서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Alfred P. Sloan Foundation의 부분적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