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pt of Continuity in Confucianism through filial piety(孝) Ethics

효(孝) 윤리를 통해 본 유가(儒家)의 연속적 사유

  • 이천승 (전북대 쌀.삶.문명연구원)
  • Received : 2010.05.06
  • Accepted : 2010.06.0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In addition to the emphasis on filial piety ethics in everyday life, filial piety obtained a further significance in Confucianism which had the strong sense of ancestor worship. This paper focuses on filial piety as a mechanism of continuity within Confucianism and points out that it owed its development to its connection to agricultural culture. The sedentary life with less mobility forged a relative intimacy among people and filial piety was the actual expression of that kind of intimate affection. Yet, filial piety in Confucianism created a unique culture in terms that it not only stipulated material and emotional support for parents but also expected one's piety to the further ancestors through a memorial service and made its connection to the infinite posterity through sons.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that established filial piety at the turning point from life to death, the self existing in present was not an isolated self anymore. Yet, one can see another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from that filial piety, based on blood bonds, could move beyond paternalism to broaden itself. It could be expanded to the care for strangers. The aged experience and wisdom through agricultural life begot the insight that the nature made its infinite connections with everything through circulation. As a stone thrown in a pond would enlarge its boundary by drawing larger and larger concentric circles, this thought enabled people to enlarge their affection to their parents to universal humanity. In this enlarged network, though it was natural to make distinctions between the closer and the farther, Confucianism sought to overcome it by establishing oneself upright. Confucianism emphasized the moral cultivation with its filial piety concept that contained the diachronic thought penetrating life and death and the broadened perspective relating everything around. In Confucianism, filial piety provided an important medium in forming a moral subject that penetrated life and death and related self and others. Inherent in it is the Confucius thought of continuity that searched for a paragon of a moral human being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일상에서 효 윤리의 강조와 그 연장선상에서 조상숭배의식이 강했던 유가에서 부모에 대한 효의 의미는 더욱 각별했다. 이 논문에서는 유가에서 강조해오던 효의 의미를 단절 없는 이어짐의 연속적 사유의 작동기제라는 측면에서, 특히 그 기반으로 농경문화와 긴밀히 연관되면서 더욱 진작되었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쉽게 옮길 수 없는 정착적 생활은 상대적으로 친밀감을 형성했고 부모에 대한 효는 그러한 정감의 현실적 표출이었다. 그러나 유가에서의 효는 부모에 대한 물질적 정신적 봉양을 넘어 제사를 통해 앞선 조상으로, 다시 자손을 통해 무한히 후대로 이어진다는 관점에서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 삶과 죽음을 관통하는 기점에 효를 설정한 유가의 인식에서 볼 때, 현존하는 나의 존재는 더 이상 단절된 내가 아니었던 것이다. 그러나 혈연적 유대감에 기초한 효가 가족주의에 차원에 그치지 않고 타자에 대한 배려의 정신으로 확장가능하다는 점에서 유가의 또 다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농경을 통한 오랜 경험과 지혜는 순환하면서 연계된다는 자연에 대한 통찰력을 낳았다. 이는 호수에 던져진 돌멩이가 동심원 모양의 파장으로 외연을 넓혀가듯이 부모에 대한 친밀한 정감을 보편적 인간애로 확충하는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효를 통해 삶과 죽음을 관통하는 통시적 사유와 주변의 모든 관계를 연계시키려는 맞물림의 정점에서 자신의 도덕적 수양을 강조했던 것이다. 이처럼 유가에서 효란 삶과 죽음을 관통하고 나와 타자를 연계시키는 도덕 주체의 정립에서 중요한 매개고리였다. 그 속에는 시공간을 관통하여 바람직한 인간다움의 전형을 모색하는 유가의 연속적 사유가 내재되어 있다. 아울러 그러한 연속의 의미에는 나와 타자의 바람직한 관계를 통해 자연과 인간의 소통[天人合一]을 지향하는 유가철학의 주요 개념을 함축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