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Inquiry of Zhang Bo-duan's Writings

장백단(張伯端)의 저술고(著述考)

  • Received : 2010.05.13
  • Accepted : 2010.06.0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Zhang Bo-duan compiled about internal alchemy in Taoism. Although he lived in the mundane world, he wished to seek theory on neidan of Taoism(internal alchemy). After finding enlightenment, he elucidated that the enlightenment was a state of rising above world not needed to leave the world. After ages, he was admired as the founder of Taoism in Southern school and his Oh Jin Peon which contents internal alchemy was considered seriously to have more than 30 people who annotated with it until Ch'ing Empire. At his age of 80, he met the real person who gave him theory on neidan of Taoism(internal alchemy), its preface tells that he organized its main point, and then wrote Oh Jin Peon with it in 1075. Generally Zhang Bo-duan was known to leave three books as Oh Jin Peon, Guem Dan Sa Baek Ja, and Cheung Hwa Bi Mun, most of critics have been studying on the basis of them. However, it is not correct whether all of them is his writings and there is not exact analysis but simple belief about it. I think accuracy and details are indispensible in philosophical approach. The study not having verification about primary data is no more than a visionary projet which soon collaps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dding the detail analysis on it and making its exact basis of philosophical approach. Zhang Bo-duan over his age of 80, became enlightened, in his old age handed down his student the secret as a record and theory on neidan of Taoism(internal alchemy). And not in his living but after his dying his status was soared. Because of his high status in internal alchemy Taoism, it seems that there are more interest in it and some published books which just leave his name. In this study, I accept Oh Jin Peon as a his real writing among unsure his writings and criticize systematically and classify its characteristics. And I demonstrate that Guem Dan Sa Baek Ja, Cheung Hwa Bi Mun couldn't be his real writings, these could be forgeries by posterity, with proposing some basis of the argument.

도교(道敎)의 내단이론(內丹理論)을 집성한 인물을 꼽으면, 단연 장백단(張伯端)일 것이다. 그는 『오진편(悟眞篇)』과 『청화비문(靑華秘文)』 및 『금단사백자(金丹四百字)』 등 3편의 저술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연구자들은 이것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과연 이 모두가 그의 저술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확한 분석을 가하지 않은 채로 잠정적으로 인정하고 있거나, 단순하게 믿고 있는 정도일 뿐이다. 철학적 태도에서 정확성과 엄밀성은 필수적이다. 일차적 자료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없는 연구는 그야말로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본고에서는 도교 내단사상의 연구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는 장백단의 저술에 대한 치밀한 분석을 가하여, 앞으로 그에 대한 철학적 분석의 명백한 기초를 확립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장백단은 80세가 넘은 나이에 도를 얻고서 아주 늦은 나이에 그 비결(秘訣)을 기록으로 남기고 제자에게 단법(丹法)을 전하였다. 그리고 그는 살아서가 아니라 죽은 다음 일정한 세월이 지난 후에 위상이 높아졌다. 내단도교에서 중요한 비중을 갖게 된 그의 위치로 인하여 그의 저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따라서 그의 이름에 의탁한 책들이 유포되었다고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진위(眞僞)에 대해서 확정하지 못하고 있는 장백단의 저술에 대해서, '오진편(悟眞篇)'에 「자서(自序)」·「칠언사운(七言四韻) 16수(首)」·「칠언절구(七言絶句) 64수(首)」·「오언율시(五言律詩) 1수(首)」·「서강월(西江月) 12수(首)」 및 「후서(後序)」를 배당하고, '오진외편(悟眞外篇)'을 오진편습유(悟眞篇拾遺)라고 하여 「선종가송시곡잡언(禪宗歌頌詩曲雜言) 32수(首)」를 넣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오진편(悟眞篇) 외(外)'라고 하여 『금단사백자(金丹四百字)』와 『청화비문(靑華秘文)』, 그리고 「서강월(西江月)」 1수와 칠언절구(七言絶句) 5수(首), 「독주역삼동결(讀周易參同契)」·「증백룡동유도인가(贈白龍洞劉道人歌)」·「석교가(石橋歌)」를 포함시키면 적절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몇 가지의 논거(論據)를 제시하여 『금단사백자』나 『청화비문』은 장백단의 저술일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여 후인들의 위작(僞作)일 것이라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