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es Altai Exist?: Area Studies and the Meaning of "Area"

알타이는 존재하는가: 지역연구와 지역의 의미

  • Nam, Youngho (Institute for Urban Humanities University of Seoul)
  • 남영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 Received : 2010.08.28
  • Accepted : 2010.10.10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While there are a few ways of giving meanings to the term, "Altai" ranging from a language family to a national residing around the Altai Mountains in Russian Federation, and to the people speaking the language or the whole area where they live, there have been controversial debates whether it is a meaningful categoriz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basic cause lying beneath the controversies is the underdevelopment of the subject that identifies itself as a representative of the whole area where the Altaic language family is spoken. It might be true, as some Korean and Russian scholars insist, that what deserves to be called Altaic culture (or civilization) has provided a common culture and mutual interactions with the people. However, the Altaic people failed to constitute themselves as a meaningful modern group, that is a nation, and they did not fully develop national consciousness, As a result, although their way of life may be regarded as an origin of various cultures across North-East Asia, Altaic culture is not sufficient to give a momentum to claim for cultural initiative in the region. This comes at least partly from the reconfiguration of ethnic identity through a Soviet type of modernization and its geopolitical situation surrounded by super-powers such as China and Russia, as well as belated import of religions such as Buddhism and Christianity. From a wide perspective, the trouble about delimiting an area is not unique in Altai, but universally found in anywhere, as far as area studies are concerned. The delimitation of an area is not a natural outcome of physical environment but an artificial production of how cultural-political relationships have been distributed. Therefore, while the case of Alai has its own specificities, its implications that a national or regional boundary in area studies should not be taken for granted may be applied to other areas.

알타이라는 명칭은 어족의 이름, 알타이 산맥 일대에 거주하는 민족의 이름 그리고 알타이어족의 사람들과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이름 등 여러 가지로 쓰이면서도, 그것이 의미있는 단위인가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알타이 어족의 분포 지역 전체를 포괄하는 주체가 형성되지 않았다는 데에 이러한 논란의 핵심적인 원인이 있다고 주장한다. 일각에서 주장하듯이, 알타이 문화권이라고 부를만한 문화적인 공통성과 역사적인 접촉이 있었을 수 있지만, 그것이 근대를 겪으면서 의미있는 단위인 민족으로 묶어지지 않았고 또 그러한 의식이 형성되지도 않았기에 문화적 유사성으로만 남게 된 것이다. 이는 한편으로 소비에트적인 근대화를 통한 종족 정체성의 재구성과 러시아, 중국 등 주변 강대국의 강력한 개입, 불교, 기독교등 외래 종교의 뒤늦은 전래 등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나 알타이를 지역 연구의 단위로 설정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은 이 지역에 특이한 현상만은 아니다. 이는 지역 설정이 물리적 환경에 따른 자연적인 경계 획정이 아니라, 문화정치적 관계에 따라 인위적으로 권력관계가 분배된 결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알타이의 사례는 그 지역적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지역연구에서 지역을 균일한 "문화"를 지니는 것으로 미리 전제하는 것의 위험성을 알려주는 함축을 지닌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7년 정부의 재원(교육인적자원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KRF-2007-362-A00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