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of Women Immigrants on Satisfaction with life

여성 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창식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 Received : 2010.10.15
  • Accepted : 2010.12.10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women immigrants. The participants were 346 women immigrants in S city, Chungnam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such scales as satisfaction with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First,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ranked in order of couple, parents-in-law, and brothers-in-law and sisters-in-law. Second, as the women immigrants were younger, and their wedding time was shorter, satisfaction with couple was higher. Third, when women immigrants were between 20 and 30 years old in age, and between 2006 and 2010 in wedding year, satisfaction with parents-in-law were higher. Fourth, when women immigrants were between 20 and 30 years old in age, and 2006 and 2010 in wedding year, satisfaction with brothers-in-law and sisters-in-law were higher. Fifth, satisfaction with life was higher for women immigrants with younger age, lower educational level, and shorter residence and wedding time. Sixth, curve term more accounted for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parents-in-law and life. Seventh, significant predi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life were satisfaction with couple, and brothers-in-law and sisters-in-law.

Keywords

References

  1. 김나영.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와 사회 참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미경. (2010). 결혼이주여성의 고부갈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승권, 김유경, 조애저, 김혜련, 이혜경, 설동훈, 정기선, & 심인선. (2009).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보건복지가족부.법무 부.여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0-06.
  4. 김오남. (2006a).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적요인 연구. 가족과 문화, 18(3), 63-106.
  5. 김오남. (2006b).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6. 김정혜. (2009).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미정, & 엄명용. (2009).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2), 1-26.
  8. 박재규. (2006). 국제결혼 이민자여성의 가족생활과 이혼고려 관련성 분석. 농촌사회, 17(2), 1-20
  9. 박재규. (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민자여성의 이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사회, 17(2), 75-105.
  10. 박지영. (2010).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관계와 관련 변인. 농촌지도와 개발, 17(2), 305-326.
  11. 법무부. (2010).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12.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지원 정책방안. 과천: 보건복지부.
  13. 서산시. (2010). 서산시통계연보. 서산: 서산시청.
  14. 설동훈, & 윤흥식. (2005). 국내거주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사회복지정책. 한국사회복지학회, 10, 247-265.
  15. 양순미. (2010).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사회참여활동 태도가 미치는 효과. 농촌사회, 20(1). 233-263.
  16. 유영주. (1994). 건강한 가족을 위한 가족원의 역할.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7. 이지영, & 이미진. (2009). 결혼이민자 여성의 고부관계와 수발의식. 노인복지연구, 46, 127-156.
  18. 이지혜. (2008).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관계만족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임경혜. (2004). 국제결혼 사례별로 나타난 가족문제에 따른 사회복지적 대책에 관한 역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임안나. (2005). 한국 남성과 결혼한 필리핀 여성의 가족관계와 초국가적 연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정선애. (2007). 일하고 싶은 결혼이주여성, 현모양처가 좋은 이주여성 정책. 한국여성인권센터 2007 정기심포지움.
  22. 정주연. (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사회복지학생연구논총, 1, 228-262.
  23. 최경숙.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최금혜. (2006). 한국 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적응기 생활 체험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연구, 44(1), 329-364.
  25. 통계청. (2010). 2009년 혼인통계결과. 대전: 통계청.
  26. 한건수. (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729-741.
  27. 행정안전부. (2009). 내부자료.
  28. 홍기혜. (2000). 중국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Cummins, R. A. (1996). The domains of life satisfaction: An attempt to order chao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8, 303-332. https://doi.org/10.1007/BF00292050
  30. Liu, M. F., Chung, H. H., & Hsu, M. T. (2001). Adaptation of foreign brides in Taiwan: Implications for nursing. The Journal of Nursing, 48(4), 85-89.
  31. Pavot, W., & Diener, E. (1993). Re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5(2), 164-172.
  32. Rojas, M. (2006). Lif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domain of life: Is it a simple relationship?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 467-497. https://doi.org/10.1007/s10902-006-9009-2
  33. http://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