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Analysis of Household Debt in Korea: Using Micro CB Data

개인CB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가계의 부채상환위험 분석

  • Received : 2010.03.16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We conduct a comprehensive risk analysis of household debt in Korea for the first time using the whole sample credit bureau (CB) data of 2.2 million individual debtors. After analysing debt service capacity profiles of debtor groups classified by the borrower characteristics such as income, age, occupation, credit scoring, and the type of creditor business companies,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interest rate and income changes on debt service-to-income ratios (DTIs) and default rates of respective debtor groups.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debt service burdens are relatively high for low income wage earners, high income self-employed, low income capital and card loan holders, and high income mutual savings loan holders. We also find that debtors from multiple financial companies are particularly weak in their debt service capacity. The scenario analysis indicates that financial companies, with the current level of capital buffers, may be able to absorb negative consequences arising from the increase in DTIs and loan default rates if the interest rate and income changes remain modest. However, the negative consequences may fall disproportionately on non-bank financial companies such as capital, credit card, and mutual savings banks, whose debtors' DTIs are already high. We also find that the refinancing risk of household debt is relatively high in Korea as more than half of household mortgage debts are bullet loans. As the DTIs of mortgage loan holders are already high, under the current DTI regulation, mortgage loans may not be readily refinanced especially when the interest rate rises. Disruptions in mortgage loan refinancing may put downward pressure on housing prices, which may in turn magnify refinancing risk under the current loan-to-value (LTV) regulation. Overall our analysis suggests that, for more effective monitoring of household debt risk, it is necessary to combine existing surveillance schemes based on macro aggregate indicators with more comprehensive and detailed risk analyses based on micro individual data.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총 2,210만명의 개인신용 전수미시자료에 기초하여 차주별 특성 및 금융업권별로 부채상환능력을 비교 분석하고, 거시경제 충격에 따른 금융권역별 총부채상환비율(DTI)과 불량률의 변화, 차환위험 분석 등을 통해 가계부채의 건전성을 평가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차주별로는 저소득 근로자와 고소득 자영업자의 부채상환부담이 상대적으로 높고, 금융업권별로는 캐피탈 및 카드사의 저소득 차주군, 상호저축은행의 고소득 차주군, 은행과 제2금융권 금융회사로부터 복수의 부채를 보유한 차주군의 부채상환능력이 특히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향후 연간 금리 상승폭이 3%p, 소득감소율이 5% 수준 이내인 경우 가계의 부채상환부담 및 불량률 상승효과는 금융권이 현재의 자기자본으로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 권역별로는 캐피탈, 카드사, 상호저축은행 등 이미 차주의 DTI가 높은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가계부채의 부실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가계부채 증가가 고소득층의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서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견해가 있으나 고소득 차주군, 특히 자영업 고소득 차주군의 DTI 및 고위험군 비중이 높게 나타나, 향후 DTI 규제, 금리 상승 등으로 만기도래하는 일시상환형 주택담보대출의 차환이 어려울 경우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가계부실이 증가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분석 결과는 기존의 거시총량지표를 이용한 가계부실위험 모니터링과 더불어 CB 등 미시자료를 이용한 차주 단위 분석을 결합하여 거시건전성 감독 차원에서 보다 심층적인 가계부채의 위험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