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ICF 모델에 기초한 장애인의 참여 척도 개발

  • Received : 2010.07.29
  • Accepted : 2010.09.20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e participation scal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 ICF includes a component for classifying and qualifying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in the context of their environments. The participation scale were developed using 7 times with different focus groups using the ICIDH-2 as a contextual framework. Candidate 41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8 participation components and put into a survey format. Finally, purposeful sample of 363 people with mobility limitations was conducted survey. As a result of survey, participation scale is composed of 38 items that are placed in 7 domains used in the activity/participation component of the ICF: holisitc health; communication; mobility; domestic life;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social and economic life; civic life. This scale does not include the domains of learning and applying knowledge, general tasks and demands, recreation and leisure but more focuses on social and civic life.

본 연구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과 이들을 둘러싼 환경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장애인의 사회적 참여의 개념을 ICF에 준해 구조화하고 이를 근거로 참여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장애인 당사자의 주관적인 참여 경험을 확인하기 위하여 총 7차례에 거쳐 38명의 장애인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하였으며, 363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여 장애인 참여 개념의 구성체를 탐색하는 양적 및 질적 접근 방법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8개 영역으로 구성된 41개의 참여 척도 예비 문항을 도출하여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체적 건강, 의사소통, 대인관계, 이동, 가정생활, 사회·경제생활, 시민생활 등 7개 요인 총4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장애인의 참여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척도에서는 ICF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 및 지식의 적용, 일반적인 임무와 욕구 영역 그리고 레크리에이션과 여가는 제외된 반면 사회·경제생활과 시민생활 영역은 강조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8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학술연구조성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08-327-B00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