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구시 기반시설양호 주택지의 주민의식과 환경 개선 방향

How to Improve the Environments of Detached Housing Areas with Moderate-quality Infrastructure Effectively in a Case of Daegu City

  • 조득환 (대구경북연구원 도시디자인연구실)
  • 투고 : 2010.02.26
  • 심사 : 2010.04.09
  • 발행 : 2010.04.25

초록

A regional planning is central to addressing various urban problems surrounding the detached housing areas of a metropolitan city of Daegu. The problems are related with decrease in population, socio-economic issues of redevelopment and a sustainable society, the various housing market and housing rights, and a need to explore a desirable alternative to enhance the civil needs when renovating General Residential Zon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a possible method of residents led environmental improvement by surveying the residents' consciousness in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The residents wish to have a residential parking permit program to be set up in place and financial support for old independent houses and finally for lampposts and CCTV to be installed by the administrative assistants. The 75.7 per cent residents who inhabit in the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wish that a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 is required and the population at 65.9 per cent could consider a need for the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residential improvement. 70.3 per cent answered that a consultative group of inhabitants is needed to be built, while 40.5 per cent expressed that they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that group in case the group is set up. The possibility of productive residential improvement via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is high, as long as small various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are created, a resident-consultative group formed, and finally a residential improvement plan is addressed in a comprehensive way.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창호 외(2009), 주민자력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주거모델 개발 및 지원 방안 연구, 주택도시연구원, HURI focus 37호.
  2. 서수정 외(2009),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3. 이창호 외(2008),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 시범사업을 위한 운영방안, 주택도시연구원, 175.
  4. 김청원 외(2007), 기반시설이 양호한 노후 주거지의 정비방안-서울시 제1종 일반주거지역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0(2), 95-122.
  5. 신중진(2008), 일본의 통합적 정비수법을 통한 주거환경 개선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11), 223-234.
  6. 장재일 외(2008), 단독주택지 재정비를 위한 민간사업 수단의 통합 필요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4(12), 215-224.
  7. 강석진(2007), 도시주거지역에서의 근린관계 활성화를 통한 방범환경조성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7), 97-106
  8. 전병권(2007), 도시단독주택지 단위블록의 유형화와 이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8(3), 125- 136.
  9. 정재용 외(2006), 서울 단독주택지의 주거환경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2), 163-174.
  10. 대구광역시(2006), 2010 대구광역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127-137.
  11. 신중진 외(2005), 주민참여에 의한 도시주거지정비방안에 관한 연구-일본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4), 139-146.
  12. 조득환(2004), 대구광역시 담장허물기와 마을만들기의 연계방안, 대구경북연구원.
  13. 민범식 외(2002), 기성시가지 정비기법에 관한 연구-주거지역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
  14. 민범식 외(2001),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기성시가지 정비방안 연구-정비과제설정 및 유형화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75.
  15. 佐藤 滋(1999), まちづくりの科學, 鹿島出版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