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Food and Culture in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System

음식문화 분야의 DDC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문헌정보학) ;
  •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0.02.01
  • Accepted : 2010.03.21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how food and culture and Korean foods are reflected in the classification systems and to propose improvements of DDC to classify various subjects related to the materials of food and culture. For the study, six classification systems - DDC(Dewey Decimal Classification), UDC(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LCC(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NDC (Nippon Decimal Classification), China Library Classification - were analyzed in aspects of eating and drinking customs, eating etiquette, nutrition and diet, food and drink, meal and table service, beverage technology, and food technology. As a result, there were few headings about Korean food in six classification systems and it was necessary for DDC to have new headings for classifying Korean and Asian traditional foods and table services. Due to the literary warrant in classification systems, it is required to publish and disseminate various Korean food recipes and publications to add new headings or notes in future classification systems.

본 연구는 문헌분류표를 바탕으로 음식문화 분야와 한식을 고찰하여 음식문화의 다양한 주제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DDC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동서양의 대표적인 분류 체계인 DDC, UDC, LCC, KDC, NDC, 중국도서관도서분류법을 대상으로 식생활 풍습, 식사 예절, 영양과 식이, 식품과 음료, 식단과 상차림, 음료 기술, 식품 공학으로 나누어 음식문화와 관련된 항목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 분류표의 한식에 대한 분류 항목은 거의 없었으며 앞으로 한국 고유의 음식과 상차림 등이 분류표에 반영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분류표에 새로운 분류 항목이나 주기의 추가를 위해서는 문헌적 타당성을 가져야 하므로 다양한 한식에 관한 조리법이나 간행물을 발간하고 이를 전 세계에 알려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만, 서태설, 조순영. 2006. 국가지식정보자원 분류체계 표준화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51-173.
  2. 구난숙, 권순자, 이경애, 이선영. 2004. 세계 속의 음식문화. 서울: 교문사.
  3. 구성자, 김희선. 2005. 새롭게 쓴 세계의 음식문화. 서울: 교문사.
  4. 김연례. 2009a. KDC, NDC, DDC의 토목공학 분야 분류체계 비교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219-232.
  5. 김의근, 이선익, 박명주, 김석지. 2009. 세계음식문화. 서울: 백산출판사.
  6. 김자후. 1995. 법률학 전문분류표 창안을 위한 국내법체계 연구. 도서관학논집, 12: 439-469.
  7. 김정현, 강명수. 2008. KDC 제4판 식품영양학 분야의 수정전개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171-188.
  8. 김정현, 배주연. 2005. KDC 광고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4): 5-22.
  9. 김정현, 문지현. 2002. 농학분야 인터넷자원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3): 393-414.
  10. 김정현, 이명규. 2003. 농학 분야의 문헌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1): 239-260.
  11. 김정현, 이명규. 2009b. KDC 제 5판 건축공학분야 분류체계 개선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401-425.
  12. 김행란, 전혜경. 한식세계화 추진 현황과 연구방향, 농업 전망 2010, 197-227. 수원: 농촌진흥청.
  13. 문지현, 김정현. 2009. 어린이도서 분류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27-46.
  14. 여지숙, 오동근. 2006. 한은도서분류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329-352.
  15. 이민아. 2008. 한식 마케팅 모형 개발 연구: 한식 세계화 비젼 및 전략안 [online]. [cited 2010.2.18]. .
  16. 일본도서관협회. 2005. 日本十進分類法(新訂 9版).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17. 정혜경, 이정혜. 1986. 음식 문화 연구의 다양한 이론적 시각과 연구주제들. 식품영양정보, 7: 59-80.
  18. 中國圖書館 圖書分類法編輯委員會. 1990. 中國圖書館 圖書分類法. 北京: 書目文獻出版社.
  19.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2009. 한국십진분류법.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 한경신. 1998. 한국음악자료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3): 5-34.
  21. Agenda Research Group. 2005. 한식과 한국 음식 문화의 세계화 [online]. [cited 2010.2.18]. .
  22. Campbell, D. Grant. 2003. Global Abstractions: the classification of international economic data for bibliographic and statistical purpose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1(2): 221-234.
  23. Datamonitor. 2008. MarketWatch: food 2008. London: Datamonitor.
  24. Dewey, Melvil. 2000.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Dublin, Ohio: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25. Goldberg, Jolande E. 2003. Development of a Universal Law Classification: a Retrospective on Library of Congress Class K.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5(3-4): 355-436. https://doi.org/10.1300/J104v35n03_05
  26. Griffiths, David N. 2005. The United Nation Classification Scheme: a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0(1): 19-41. https://doi.org/10.1300/J104v40n01_03
  27. Juvan, Simona, Tomaz Bartol and Bojana Boh. 2005. Data Structuring and Classification in Newlyemerging Scientific Fields. Online Information Review, 29(5): 438-498. https://doi.org/10.1108/14684520510617992
  28. Kinney, Daniel W. 2009. The Classification of Music Moving Image Materials: Historical Perspectives, Problems, and Practical Solution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7(1): 2-22. https://doi.org/10.1080/01639370802451975
  29. Library of Congress Subject Cataloging Division. 1999. Classification, class R: medicine. Washington: Library of Congress.
  30. Library of Congress Subject Cataloging Division. 2000. Classification, class B: philosophy, psychology, religion. Washington: Library of Congress.
  31. Library of Congress Subject Cataloging Division. 2005. Classification, class G: geography, anthropology, recreation. Washington: Library of Congress.
  32. Library of Congress Subject Cataloging Division. 2007. Classification, class Q: science. Washington: Library of Congress.
  33. Library of Congress Subject Cataloging Division. 2007. Classification, class T: technology. Washington: Library of Congress.
  34. Nero, Lorraine M. 2006. Classifying the Popular Music of Trinidad and Tobago.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2(3/4): 119-133. https://doi.org/10.1300/J104v42n03_04
  35. WebDewey [cited 2010.1.15]. .
  36. Ajinomoto(あしたのもと) Inc. [cited 2010.1.15]. .

Cited by

  1. 음식 문화 분야에서 KDC의 변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vol.44, pp.2, 2010, https://doi.org/10.4275/kslis.2010.44.2.117
  2. 음식문화 분야 인터넷자원 분류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십진분류법의 항목명 확장에 관한 연구 vol.27, pp.4, 2010,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049
  3. 이민정책 분야의 DDC 수정 전개 방안에 관한 연구 vol.28, pp.4, 2010, https://doi.org/10.3743/kosim.2011.28.4.033
  4. LOD기반의 문화콘텐츠 정보서비스 확장에 관한 연구: K-Food 분야를 중심으로 vol.32, pp.1, 2015, https://doi.org/10.3743/kosim.2015.32.1.109
  5. 한식정보 활용을 위한 온톨로지 설계에 관한 연구 vol.19, pp.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