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문화재연구소, 경기대학교
References
- 권기영, 김주경, 홍관의, 성기백, 이철호, 문창호. 2005. 남대천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과 영양염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8: 55-56.
- 김용재. 2001. 신천의 부착규조 군집을 이용한 유기오탁 판정. 한국육수학회지 34: 199-205.
- 김용재. 2004. 한탄강의 돌 부착조류 군집의 시,공간 동태. 한국조류학회지 19: 15-22.
- 김용재. 2007. 도시화 정도에 따른 포천천과 영평천의 돌 부착 규조 군집변화. 한국육수학회지 40: 468-480.
- 김용재. 2009. 시화 반월 고습지와 저습지의 갈대 부착규조 군집구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2: 96-106.
- 김용진, 신경애, 이옥민. 2009. 남한강 지류인 복하천과 달천의 부착규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환경생물 27: 414-424.
- 김용진, 이옥민. 2009. 부착규조류를 이용한 달천과 섬강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5: 606-614.
- 김치홍, 이완옥, 홍관의, 이철호, 김종화. 2006. 양양남대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8: 112-118.
- 김치홍, 홍관의, 김종화, 김경환. 2006. 강릉 연곡천의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18: 244-250.
- 박재충, 박정원, 김대현, 신재기, 이희무. 2005. 안동호 수역별 영양상태와 평가방법간 상관성 비교. 한국육수학회지 38: 95-104.
- 박정원, 최재신, 김미경. 2004. 낙동강 중류지역의 부착규조 군집의 변화와 유기오탁지수(DAIpo)에 의한 수질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7: 70-77.
- 서정관, 유재정, 이재정, 양상용, 정익교. 2003. 운문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동태와 영양단계 평가. 한국조류학회지 18: 135-143.
- 신명선, 김범철, 김재구, 박미숙, 정성민, 장창원, 신윤근, 배연재. 2008. 청계천의 수질과 부착조류의 계절적 변동.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1: 1-10.
- 윤이용, 김대현, 이승목. 1999. 강릉 남대천 하류의 오염물질 정체현상과 강릉수력발전 방류수의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1: 2221-2230.
- 이옥민, 유미선, 이병인, 임안숙. 2008. 전남 갈곡천과 인천강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 한국조류학회지 23: 257-268.
- 이정호, 박종근, 김은정. 2002. 국내 주요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영양단계 평가. 한국조류학회지 17: 275-281.
- 이정호. 1998. 낙동강의 부착규조와 유기오탁지수(DAIpo). 한국육수학회지 31: 38-44.
- 이정호, 김용재. 1996. 낙동강 수계 댐호의 부착규조 및 영양단계 평가. 환경생물 14: 18-28.
- 이정호, 정 준. 1992. 금호강의 오탁도에 따른 부착규조의 정점별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25: 31-40.
- 이흥수, 김미경, 이혜근, 신재기. 2006. 태화강과 회야강 유역에서 소하천의 환경적 특성. 공동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물환경학회지. p. 521-525.
- 정승원, 박성환, 이진환. 2008.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IIX. 갈수기 부착돌말류의 유기오탁지수(DAIpo index)에 의한 수질 평가. 환경생물 26: 233-239.
- 정연태, 최민규, 김백호, 위인선, 이종빈. 1996. 수질오염 판정을 위한 기법개발(I) 부착조류 군체화에 미치는 기질특이성 연구. 환경생물 14: 95-111.
- 정 준. 1993.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출판사. 서울. 496 pp.
- 정 준, 최재신, 이정호. 1993. 부착규조 군집의 유기오탁 지수(DAIpo)에 의한 금호강의 수질평가. 환경생물 11: 43-58.
- 최재신, 김한순, 강만도. 1998. 신천의 부착 규조군집의 계절적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1: 234-240.
- 하경혜, 최광희, 김종욱. 2009. 강릉 연곡천 하구의 지형 특성과 염도 분포. 한국지형학회지 16: 89-100.
- 홍재상, 서인수, 이창근, 윤상필, 전래홍. 2000. 양양 남대천 하구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3: 230-237.
- 황상일, 윤순옥. 2008. 한반도 중부 동해안 석호 및 주변 유역의 지형특성과 하구부 퇴적환경. 한국지형학회지 15: 17-33.
- CarIson, R.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 Oceanogr. 22: 361-369. https://doi.org/10.4319/lo.1977.22.2.0361
- Davies-Colley, R.J. and D.G. Smith, 2001. Turbidity, suspened sediment, and water clarity: A review. Water Res. 37: 1085-1101.
- Descy, J.P. 1979. New approach to water quality estimation using diatoms. Nova Hedwigia 64: 305-323.
- Dziengo-Czaja, M., J. Koss and A. Matuszak. 2008. Teratological forms of diatoms (Bacillariophyceae) as indicators of water pollution in the western part of Puck Bay (southern Baltic Sea). Oceanol. and Hydrobiol. 37: 119-132. https://doi.org/10.2478/v10009-007-0042-1
- Ettl, H., G. Gartner, J. GerI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1991b.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4. Bacillariophyceae, Gustav Fischer VerIag, Stuttgart.
- Ettl, H., J. GerI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1986.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1. Bacillariophyceae,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 Ettl, H.,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1988.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2. Bacillariophyceae, Spektrum Akademischer Verlag, Berlin.
- Ettl, H.,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1991a.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3. Bacillariophyceae, Spektrum Akademischer Verlag, Berlin.
- Forsberg, O. and S.O. Ryding.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tereceiving lakes. Arch. Hydrobiol. 89: 189-207.
- Greenberg, A.E., L.S. Clesceri and A.N. Eaton. 200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st.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 Kelly, M.G. and B.A. Whitton. 1995. The trophic diatom index: a new index for monitoring eutrophication in rivers. J. Appl. Phycol. 7: 433-444. https://doi.org/10.1007/BF00003802
- Lane, C.R. and M.T. Brown. 2007. Diatoms as indicators of isolated herbaceous wetland condition in Florida. Ecological Indicators 7: 521-540. https://doi.org/10.1016/j.ecolind.2006.06.001
- Ponader, C.K., D.F. Charles and T.J. Belton. 2007. Diatombased TP and TN inference models and indices for monitoring nutrient enrichment of New Jersey streams. Ecological Indicators 7: 79-93. https://doi.org/10.1016/j.ecolind.2005.10.003
- U.S. EPA. 1995. Generic quality assurance project plan guidance for programs using community-level biological assessment in stream and wadeable river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EPA 841-B-95-004.
- Watanabe, T. and K. Asai. 1990. Numerical simulation diatoms assemblage of organic pollution in stream and lakes. Rev. Inq. and Res. 52: 99-139.
- Watanabe, T., K. Asai and A. Houki. 1990. Numerical simulation of Organic pollution in flowing waters. Hazardous Waste Containment and Treatment 4: 251-281.
- Watanabe, T., T. Ohtsuka, A. Tuji and A. Houki. 2005. Picture book and ecology of the freshwater diatoms. ed. T. Watanabe. Uchida-rokakuho, Tokyo. 666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