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배경: 심부정맥 혈전증은 폐색전증이나 만성 심부정맥 부전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기본적인 치료로 항응고요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식적인 항응고요법은 치료 이후 재발과 혈전후 증후군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나 최근에는 중재적 시술을 이용한 치료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하지 심부정맥 혈전증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중재적 치료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심부정맥 혈전증으로 중재적 시술을 시행한 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양상 및 치료 방법, 치료 경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고 이전에 항응고제만으로 치료한 45명의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여 결과를 비교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연령은 중재적 치료의 경우 55.4세, 대조군의 경우 53.7세로 두 군 모두 여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도관을 이용한 혈전 용해제를 투여한 환자는 총 22명(78.5%)이었고 흡입 혈전제거술을 시행한 환자가 18명(62.0%),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가 25명(86.2%)이었다. 폐색전증의 위험이 있어 하대정맥 내 필터를 삽입한 환자가 15명(51.7%)있었다. 대조군의 경우 저분자량 헤파린으로 치료한 경우가 39명(86.7%), 와파린을 사용할 수 없어 아스피린만으로 치료한 경우가 7명(15.6%), 헤파린으로 치료한 경우가 6명(17.8%) 있었다. 혈전용해제 또는 항응고제 사용 후 출혈로 인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중재적 치료의 경우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전증의 재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혈전후 증후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고(p-value=0.008) 사망한 경우가 없어 임상적으로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중재적 치료는 고식적 항응고요법과 비교하여 안전하며 빠른 증상 호전과 낮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이지만 아직까지 장기적인 유용성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Deep vein thrombosis (DVT) is a serious disease that causes life-threatening pulmonary embolism and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Anticoagulation is the standard therapy for DVT. However, the results of standard anticoagulation for treating DVT have been disappointing, so endovascular treatment is commonly performed nowaday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n endovascular procedure for treating patients with DVT. Material and Method: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clinical data of 29 DVT patients who underwent an endovascular procedure between December 2006 and July 2008.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29 patients with the results of another 45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only aspirin and heparin. Result: The patient’s mean age was 55.4 years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53.7 years in the control group. DVT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females. Catheter-directed thrombolysis was performed in 22 patients (75.8%). Aspiration thrombectomy was performed in 18 patients (62%) and a endovascular stent was placed in 25 patients (86.2%). Fifteen patients (51.7%) underwent percutaneous insertion of a retrievable IVC filter for the prevention of pulmonary embolism. In the control group, thirty nine patients (86.7%) were treated with low-molecular heparin, and seven patients (15.6%) who were contraindicated for warfarin were treated with aspirin. No bleeding complications occurred during thrombolysis or anticoagulation. We analyzed the statistical data according to recurrence of DVT and the incidence of post-thrombotic syndrome (P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incidence of PTS (p-value=0.008), but they had the same result as the control group for the recurrence of DVT. In addition, death from the DVT did not occur in the intervention group. Thus, we obtained better clinical outcomes in the intervention group as compared to those in the anticoagulation only group. Conclusion: Endovascular procedures are effective alternative modalities, as compared to systemic anticoagulation, for the treatment of DVT. But more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specific indications and to validate the long-term efficacy of endovascular procedures for the treatment of DV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