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Counseling Elements in the Life and Philosophy of Yeonam Park Ji Won

연암 박지원의 삶과 사상 속에 담긴 상담요소 분석

  • Received : 2009.12.08
  • Accepted : 2009.12.31
  • Published : 2010.0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raditional values, attitudes, the methods of expression and to develop Korean-style counseling method through the life and philosophy of Yeonam Park Ji Won. This study found the value of counseling in the life and philosophy of Yeonam Park Ji Won and extracted the counseling elements. Finally, this study systematized them as the counselor's good attitude, the counselor's ability for human relationships and the counseling strategy for helping other people. The counselor's attitude which we can learn from Yeonam is to give a deep impression, to converse making other's thought to expand, to initiate other people into the way of enjoying life, to scold for other's desirable change and growth, to use various cautionary topic, to make use of a good sense of humor, to make use of a creative methods, to make other people to mature in their abilit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ystematized the counselor's good attitude and counseling strategy which are able to be used in modern counseling through the life and philosophy of Yeonam. In the future, it can be developed into more worthy counseling knowledge which can be used in reality through continuous study and ver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실학자 연암 박지원의 삶과 사상을 통해 전통적인 가치관, 태도, 표현방식 등을 상담학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한국적 상담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선행 연구 논문 및 관련도서를 통해 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사상적 특징을 제시하며 상담학적 의미를 찾아보았고, 연암의 삶과 사상 속에 담긴 상담적 요소를 바람직한 삶의 원리, 관계 형성의 원리, 인간변화의 구체적 전략으로 나누어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한 상담적 요소가 현대상담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 연암에게 배울 수 있는 상담자의 바람직한 모습, 관계형성 및 유지 능력, 바람직한 성장을 돕는 상담기법으로 나누어 체계화하였다. 연암에게 배울 수 있는 바람직한 성장을 돕는 상담 기법으로는 감동주기, 사고의 폭을 넓혀가는 대화하기, 삶을 즐기는 방법 전수하기, 성장에 초점 맞추어 꾸중하기, 이야기 자료 활용하기, 유머 활용하기, 창의적인 방법 활용하기, 특성과 역량에 맞추어 성장시키기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연암의 삶과 사상을 통해 상담자의 바람직한 모습과 청담자의 성장을 돕기 위한 구체적 상담기법을 찾아내어 현대 상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좀 더 지속적인 연구와 검증을 통해 보다 가치 있는 상담 지식으로 발전시키고, 상담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연암 상담법이 완성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