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Sociometric Status and KSD Reaction of Hig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사회성측정 지위 유형과 동적학교생활그림검사(KSD)의 관계

  • Received : 2009.12.07
  • Accepted : 2009.12.31
  • Published : 2010.01.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ee that to what extent KSD reaction can be related to types of sociometric status, and it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an hypothesis that KSD reac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 grades(4th, 5th, 6th grades) would vary according to gender and 5 types of sociometric status, For that purpose, sociometry which were developed by Ahn Iehwan(2007) and KSD, were implemented with students of 20 classes (5 classes of 4th grade, 5 classes of 5th grade and 10 classes of 6th grade) at an elementary school in A city. Number of students surveyed was 366 and it was not exactly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To verify 3 hypothese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 way ANOVA, discriminant analysis were made. As a resul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on factor and characteristics factor among 3 factors of KSD reaction by gender,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ynamics factor. The result of one way ANOVA showe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factor and dynamics factor among fe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on factor. Therefore, it was understood that characteristics factor of KSD reaction was closely related to gender difference and types of sociometric status.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review KSD scoring system suggested by 田中志帆(2009). And lastly, it was observed that KSD reaction was not effective in evaluating sociometry, and a new approach to the projective drawing test was suggested as a supplementary method for sociometry.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4, 5, 6)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KSD 반응의 차이와 사회성측정에 의한 5가지 지위의 유형별로 KSD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에 근거하여 진행된 연구였으며, 동시에 KSD 반응이 사회성측정의 지위 유형을 어느 정도 판별하는지를 확인하는 연구였다. A시에 소재한 4학년 5학급, 5학년 5학급, 6학년 10학급으로 총 20개의 학급에 대하여 안이환(2007)이 개발한 사회성측정과 Burns와 Kaufman(1970)의 KSD를 실시하였다. 피검자의 수는 총 366명이었으며 엄밀한 형태의 층화군집표본 추출법은 아니었다. 3개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차례대로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변량분석, 판별분석법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성별에 따른 KSD 반응의 3요인 가운데 인물상의 행위, 인물상의 특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역동성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일원변량분석의 결과 여학생의 KSD 반응 가운데 인물상의 특징 및 역동성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인물상의 행위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KSD 반응 가운데 인물상의 특징이 남녀에 대한 구분 및 사회성측정의 지위 유형과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田中志帆(전중지범)(2009)이 제안한 KSD 채점체계 영역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 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KSD 반응이 사회성측정을 잘 판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성측정을 보완하는 도구로서의 투사적 그림검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산교육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