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풍속화에 표현된 여성복식의 해학미

Humors in Female Costumes Depicted in 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won, Ha-Jin (Dep. of Clothing and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Ja (Dep. of Clothing and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9.09.23
  • 심사 : 2010.01.28
  • 발행 : 2010.02.28

초록

In this dissertation, the analysis of the study of female customs from late Joseon Dynasty and their genre painting to research humors and its aesthetic senses in that certain era. The purpose of the genre paintings is to look at general populations in an objective point of view and endeavor better value of public life style to embody clear understandings of humanity. The artists such as Hong-Do Kim and Youn-Bok Shin expressed their arts based on reasonable reality with sarcastic but humorous and creative ways to criticize the society's problems with clear statements. Therefore, the formative characters are realism, exaggeration and coloring of the whole arts that represents as innovative and original genre of it's time. Hong-Do Kim and Youn-Bok Shin expressed the women in society as open minded with versatile and refined looks in their paintings as the reality was repressed and closed mind for women figures in late Joseon Dynasty. The female customs in the paintings has both suppression and expression in their dresses and exaggerated shapes of accessories and the use of color were also found. All of these elements has the aesthetic values of satirized eroticism, the hint of next evolution of the late Joseon Era under the conservative disposition of social characters and freedom of expression of playfulness. These elements were new developments and a step forward of female 'sex' and expression of satirized eroticism. The exaggerated and distorted forms and accessories demonstrates unbalanced and asymmetrical elements in humorous characters and they include spontaneity. Also, using the five traditional color schemes of Korean art displays humor in playfulness of an art with splendid and purity, duality of positiveness and artless, smart and elegance look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영필, 금기숙, 김문환, 민주식, 송방송, 주남철 공저(1994). 한국미학시론.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 67.
  2. 정병모 (2001).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p. 15.
  3. 김지연 (2004). 한국 미술 중에 나타나는 해학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4. 하지수 (1994). 현대 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복식, 22.
  5. 류근영, 이효진 (2002). 만화 이미지가 표현된 후기산업사회 복식의 해학. 복식, 62(8).
  6. 박옥미, 송정선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엽기현상-국내 패션디자이너의 작품을 중심으로-. 복식, 54(2).
  7. 장애란 (2006). John Galliano작품에 표현된 웃음의 미학. 복식, 56(8).
  8. 장애란 (2007). John Galliano 컬렉션의 패션메이크업에 나타난 통속성. 복식, 57(6).
  9. 이민정, 김민자 (2008). 골계미가 표현된 TV코미디 의상 연구-<개그콘서트>를 중심으로. 복식. 58(1).
  10. 자료검색일 2009. 6. 1, 자료출처 http://www.naver.com
  11. 자료검색일 2009. 6. 1, 자료출처 http://www.korean.go.kr
  12. 권영필, 금기숙, 김문환, 민주식, 송방송, 주남철 공저(1994). 한국미학시론.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 98.
  13. 지순임 (2004).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해학성 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논문집 20, p. 148.
  14. 권혁주 (2009). 한국적 웃음과 골계론(滑稽論)의 예비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3.
  15. 竹內敏雄 (1961). 美學事典. 안영길, 지미정, 오무석, 민은기, 손현숙, 최범, 이재언 역 (1989). 미학.예술학사전. 서울: 미진사, pp. 278-280.
  16. 김보나 (2008).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諧謔美.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5-36.
  17. 김보나 (2008).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諧謔美.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
  18. 김지연 (2004). 한국 미술 중에 나타나는 해학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19. 권영필, 김임수, 이인범, 최열, 조선미, 조은정, 박영숙, 이주형, 유홍준, 민주식 공저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경기도: 돌베개, pp. 226-227.
  20. 권영필, 김임수, 이인범, 최열, 조선미, 조은정, 박영숙, 이주형, 유홍준, 민주식 공저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경기도: 돌베개, p. 230.
  21. 조요한 (2005). 예술철학. 서울: 열화당.
  22. 권영필, 김임수, 이인범, 최열, 조선미, 조은정, 박영숙, 이주형, 유홍준, 민주식 공저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경기도: 돌베개, p. 56.
  23. 권영필, 금기숙, 김문환, 민주식, 송방송, 주남철 공저(1994). 한국미학시론.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 78.
  24. 권영필, 김임수, 이인범, 최열, 조선미, 조은정, 박영숙, 이주형, 유홍준, 민주식 공저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경기도: 돌베개, p. 57.
  25. 권영필, 김임수, 이인범, 최열, 조선미, 조은정, 박영숙, 이주형, 유홍준, 민주식 공저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경기도: 돌베개, p. 246.
  26. 권영필, 김임수, 이인범, 최열, 조선미, 조은정, 박영숙, 이주형, 유홍준, 민주식 공저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경기도: 돌베개, p. 250.
  27. 최준식 (2003). 한국미, 그자유분방함의 미학. 서울: 효형출판사, p. 82.
  28. 하지수 (1994). 현대 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복식, 22. p. 72.
  29. Huizinga, J. (1955). Homo Ludens-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Boston: The Beacon Press, p. 8.
  30. 김지연 (2004). 한국 미술 중에 나타나는 해학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31. 정인섭 (1970). 해학의 사상적 배경과 수사학. 월간문학, 5월, 서울: 한국문인협회 월간문학사, p. 238.
  32. 정인섭 (1970). 해학의 사상적 배경과 수사학. 월간문학, 5월, 서울: 한국문인협회 월간문학사, pp. 84-152.
  33. 금장태 (2008). 한국 실학사상 연구.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p. 18.
  34. 최준식 (2003). 한국미, 그자유분방함의 미학. 서울: 효형출판사. p. 71.
  35.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 21.
  36.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p. 26-27.
  37.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 13.
  38.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 25.
  39.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 213.
  40. 정병모 (2001).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p. 296.
  41. 허균 (2004). 나는 오늘 옛 그림을 보았다. 서울: 대한교과서(주), p. 152.
  42. 정병모 (2001).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p. 333.
  43. 강명관 (2004).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p. 154.
  44. 한국문화교류연구회 (1998). 해학과 우리-한국해학의 현대적 변용. 서울: 시공사, pp. 118-124.
  45. 강명관 (2004).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p. 32.
  46. 박용숙 (2004). 한국화 감상법. 서울: (주)대원사, pp. 20-21.
  47. 박용숙 (2004). 한국화 감상법. 서울: (주)대원사, p. 32.
  48. 정병모 (2001).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p. 325.
  49. 최석조 (2008). 단원의 그림책. 경기도: (주)아트북스, p. 98.
  50. 정병모 (2001).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p. 302.
  51. 지순임 (2004).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해학성 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논문집 20, p. 169.
  52. 최석조 (2008). 단원의 그림책. 경기도: (주)아트북스, p. 82.
  53. 임린 (2009). 한국여인의 전통 머리모양. 서울: 민속원, pp. 166-167.
  54. 금기숙 (1988).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한국인의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01.
  55. 강명관 (2004).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p. 243.
  56. 강명관 (2004).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p. 129.
  57. 권영필, 금기숙, 김문환, 민주식, 송방송, 주남철 공저(1994). 한국미학시론.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 261.
  58. 강명관 (2004).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p. 172.
  59. 김영자 (1993). 한국 복식미에 표현된 에로티시즘에 관한 연구. 복식, 21, pp. 171-172.
  60. 김영자 (1993). 한국 복식미에 표현된 에로티시즘에 관한 연구. 복식, 21, p. 174.
  61. Weeks, Jeffrey (1985). Sexuality. 서동진, 채규형 역 (1994). 섹슈얼리티. 서울: 현실문화연구, p. 18.
  62. Weeks, Jeffrey (1985). Sexuality. 서동진, 채규형 역 (1994). 섹슈얼리티. 서울: 현실문화연구, p. 42.
  63. 한국문화교류연구회 (1998). 해학과 우리-한국해학의 현대적 변용. 서울: 시공사, p. 37.
  64.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p. 139-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