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Health Problems in Contact Center Consultants

일 지역 컨택센터 상담사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04.01
  • Accepted : 2010.05.14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health problems in contact center consulta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in order to develop health promoting interventions for these people. The subjects were 680 consultants randomly selected from 6 contact centers out of 31 in D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 to March 28, 2008. Methods: The tools for this study were HPLP II developed by Walker et al. (1995) that was modified and translated by Park (2005) and modified CMI for contact center consultants based on CMI developed by Bordman (1994).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ANOVA, and Scheffe test with the SPSS WIN 14.0 program. Results and Conclusion: The contact center consultants'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in a low level and they had certain health problems related to their job such as eye, ear and throat. In consideration of contact center consultants' job characteristics,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health programs.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영 (2004). 콜센터에서의 새로운 고용관계: 이동 통신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POSRI경영연구, 4(1), 148-173.
  2. 고응린, 박항배 (1980). 한국인에 적용되고 있는 CMI 건강조사표의 신빙성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의학회지, 23(1), 56-73.
  3. 김남진 (2001). 직장 여성들의 운동 실천이 신체적, 정신적,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4), 125-137.
  4. 김숙영 (1999). 유통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 문제와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숙, 이경옥 (2000). 기업의 텔레마케팅 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논문집, 375-388.
  6. 김영호, 김의수 (1999). 건강 행동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적 접근. 운동과학, 8(2), 273-282.
  7. 김유창, 최용환 (2004). 전화번호 안내원의 근골격계질환 실태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연구지, 6(1), 103-108.
  8. 김종배, 이경재, 박종안, 한성현 (2003). 일부 생산직 여성근로자들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3(2), 164-171.
  9. 김지선 (2006). 전화 고객상담사의 고객지향성과 관련 변수에 대한 연구: 부산지역 이동통신회사 콜센터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현지, 한성현, 이태용, 김정선 (2002). 미혼 여성근로자의 건강행태와 자각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요인 분석. 충남의대잡지, 30(2), 73-84.
  11. 대전광역시 (2005). 여성 경제활동욕구 조사연구; 텔레마케터 직종을 중심으로. 여성정책위원회 연구보고서.
  12. 박인숙 (1995).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부산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정숙, 오윤정 (2005). 농촌형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건강증진 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5(5). 943-954.
  14. 박성덕 (2008). 컨택센터의 지역유치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 대구경북연구원, 정책연구과제 2008- 055.
  15. 배수민, 정인숙, 김정순, 전성숙 (2004). 소규모사업장 여성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수행도와 관련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4(6), 964-973.
  16. 송현수 (2002). 콜 센터 매니지먼트. 서울: 새로운 제안.
  17. 송유정 (2007). 콜센터 상담원의 만족도가 고객지향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18. 원종욱, 송재석, 노재훈 (1997). 경인지역 대규모 사업장과 소규모 사업장의 작업환경 및 종사 근로자의 질병 이환율 비교. 예방의학회지, 30(2), 392-401.
  19. 유지연 (2006). 텔레마케터의 직무형태별 직무만족과 소진과의 상관관계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 윤순녕, 김정희 (1999).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분석-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한국산업간호학회지, 8(2), 130-140.
  21. 이선숙 (2005). 비정규직 여성근로자의 근무환경에 관한 연구: 전화상담원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은희, 소애영, 최상순 (1997). 여성들의 생애주기별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일개 통합시를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29(3), 700-710.
  23. 정기주 (2007). 한국 콜센터 산업의 현황과 과제. 콜센터기술경영저널, 10, 34-41.
  24. 최용환 (2001), 전화번호 안내원의 근골격계 질환 실태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Bencin, R. R., & Jonovic, D. J. (1989). Encyclopedia of telemarketing. N. J: Englewood Cliffs.
  26. Katherine, J., Jason, S., Lynette, H., Eric, N. Marsha, S., CCC-SLP, & Frederic, O. (2002).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voice problems among telemarketers. Otolaryngology Head & Neck Surgery, 128(5), 571-577. https://doi.org/10.1001/archotol.128.5.571
  27. Titze, I. R., Lemake, J., & Montequin, D. (1997). Populations in the US workforce who rely on voice as a primary tool of trad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Voice, 11(3), 254-259. https://doi.org/10.1016/S0892-1997(97)80002-1
  28.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95). HPLP II. Nebraska: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29. Weider, A., Bordman, K., Mittelmann, B., Wescher, D., & Wolff H. G. (1945). Cornell service index. War Medicine, 7,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