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Clothing Behavior by Lifestyle - Focused on Korean and American women in 30s -

라이프스타일 차이에 따른 의복행동 비교 연구 - 한국과 미국의 30대 여성들을 중심으로 -

  • Im, Sung-Ky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angMyung University)
  • Received : 2010.08.05
  • Accepted : 2010.09.03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basic data to global fashion market by surveying differences between lifestyle of women in Korea and America and their clothing behavior with female consumers in 30s in Korea or America with each other cultural background, comparing/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lifestyle and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Korea and America and making a close inquiry into an effect of lifestyle on cloth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study carried out factor analysis of lifestyle, five factors- outward appearance-oriented, leisure-oriented, family-centered, information-oriented and economy- oriented-were deducted. In outward appearance-oriented lifestyle and information-oriented lifestyle, the women in Korea were higher than the women in America. In family-centered lifestyle, the women in America were higher than the women in Korea. Second, when the study carried out factor analysis of clothing behavior, eight factors- aesthetics, indifference, interest, economical feasibility, sympathy, planning, brand-oriented tendency and individuality-were deducted. In interest, sympathy, planning and individuality, the women in Korea were higher than the women in America. On the other hand, in indifference and economical feasibility, the women in America were higher than the women in Korea. Third, in the women in Korea, their lifestyle had an effect on aesthetics, indifference, interest and brand-oriented tendency. Especially, information-oriented lifestyle had an effect on four clothing behaviors. In the Korean women, their outward appearance-oriented and leisure-oriented lifestyles had an effect on only aesthetics, indifference and interest.

Keywords

References

  1. 구양숙, 추태귀. (1996). 의복관여도에 따른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5(2). 131-143.
  2. 김미영, 이은영. (1992). 생활양식유형과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1), 3-21.
  3. 김순구, 박정순. (1990). 자아존중감과 의복행동간의 상관 연구: 성인 남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4(4). 305-313.
  4. 김은하. (2005. 1.8).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주부를 말한다, 주부의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마케팅전략연구소, 자료검색일 2010. 7. 10,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
  5. 김희은. (2004). 초등학생 어머니의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비교연구 - 본인과 자녀의 외출복 구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류세자. (2009). 미국 여성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연구. 복식문화학회지, 17(1), 28-39.
  7. 박은정. (2010). 어머니의 의복추구 이미지와 유.아동 의복행동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혜원, 임현, 임숙자. (2005). 남녀 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의복행동 및 의복 구매 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 103-113.
  9. 배혜진, 강윤정, 감대옥, 정인회. (2005). 남자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캐주얼스타일 선호. 복식, 55(1), 86-100.
  10. 심정희. (2007). 개인주의-집단주의 상황에 따른 의복행동, 의복추구 이미지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11), 1574-1585. https://doi.org/10.5850/JKSCT.2007.31.11.1574
  11. 안주아, 신명희. (2005). 우리나라 대학생 집단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및 라이프스타일과 구매 행동의 관계. 한국광고홍보학회지, 7(1), 177-209.
  12. 원선, 강혜원. (1988). 의복변인에 의한 시장 세분화와 라이프스타일과의 관계: 20.30대 여성의 의복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2(3), 309-318.
  13. 유동근. (1993). 소비자 행동 원리. 서울: 미래원, p. 152.
  14. 이부련. (1998). 의류제품 상표충성도와 생활양식과의 관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0), 23-44.
  15. 이수정. (1994). 의생활 양식에 따른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서울 시내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승희. (2000).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과시소비성향 및 의류쇼핑동기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지, 8(6), 842-852.
  17. 이옥희, 김진경. (2005). 일본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류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 298-306.
  18. 이옥희. (2005). 한국과 일본 여대생의 의복행동 비교. 복식문화학회지. 13(5), 743-755.
  19. 이은실, 이선재. (2004). 청소년기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점포속성 중요도가 패션점포선택에 미치는 영향. 복식, 55(1), 53-68.
  20. 임경복, 임숙자. (1993).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7(3), 359-366.
  21. 정혜영. (1995). 여대생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자아개념, 쇼핑 성향, 상점애고에 관한 연구. 복식, 25, 201-213.
  22. 제일기획 마케팅 연구소. (1997). 한국인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행동. 서울: 경문사, pp. 11-46.
  23. 조규철. (2000). 신세대 여학생의 패션 라이프스타일별 쇼핑성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채정숙. (1999). 라이프스타일의 비교문화적 연구: 한국과 캐나다 거주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을 중심으로. 소비자학회지, 10(4), 79-97.
  25. 한경미, 나영주. (2003). 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과 선호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 1026-1035.
  26. 황상민, 김도환. (2004).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세대의 심리적 정체성: 세대 차이 연구를 위한 심리학적 모델. 한국심리학회지, 18(2), 31-47.
  27. 10대와 50대를 통해 본 미국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트렌드. (2010, 3). 한국디자인 진흥원. 자료검색일 2010, 6. 14, 자료 출처 http://www.designdb.com
  28. 미국 2030대 주부 라이프스타일 및 디자인 선호도: 소형가전 중심. (2010. 5). 한국디자인 진흥원. 자료검색일 2010, 6. 24, 자료 출처 http://designdb.com.
  29. '위기를 딛고 선진경제로' 신성장궤도 진입전략.(2010). 지식경제부. 자료검색일. 2010, 5. 28, 자료출처 http:nmke.go.kr
  30. Assael, H. (1988).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6th ed.). Cincinnati: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pp. 25-42.
  31.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0). Consumer behavior(6th ed.). Chicago: The Dryden Press, pp. 15-63.
  32. Summers, J. O. (1970). The Identity of Women's Clothing Fashion Opinion Leader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7(5), 175-185.
  33. Wind, Y., & Green, P. E. (1974). Some Conceptual Measurement and Analytical Problems in Lifestyle Research.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p. 97-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