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Visual Merchandising Effectiveness: A Cross-cultural Stud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비주얼 머천다이징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비교문화연구

  • Park, Hyun-He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i, Qin (School of Fashion, Dalian Polytechnic University) ;
  • Jeon, Jung-Ok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박현희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 이금 (대련산업대학교 패션학부) ;
  • 전중옥 (부경대학교 경영학부)
  • Received : 2010.04.13
  • Accepted : 2010.05.05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ersuasive effectiveness of visual merchandising between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including the moderating roles of shopping value in effectiveness of visual merchandising. For the cross-cultural experiment, 2(degree of sensuousness of VM: high vs. low)${\times}$2(involvement: high vs. low)${\times}$2(nation: Korea vs. China) factorial design were used. A total of 480 questionnaires allocating 60 students to each group were distribu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nese consumers were likely to respond favorably regardless of the degree of sensuousness of VM, while Korean consumers were more positive in high degree of sensuousness of VM. Second, aesthetic cognition of VM and attitude toward VM had positive influences on brand cognition in both countries. Third, Korean consumers with greater recognition of aesthetic attributes of VM had more positive brand attitude, while Chinese consumers with greater recognition of utilitarian attributes of VM had more positive brand attitude. Fourth, there were moderating effects of shopping value in persuasive effectiveness of VM in Chinese consumer group,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n Korean consumer group. With the cross-cultural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strategic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global fashion retailing, specifically fashion visual merchandising, are provided.

Keywords

References

  1. 강연경, 손희순. (2008). 중국 성인여성의 테일러드 수트 착용실태 및 맞음새에 관한 연구-상해지역 25-34세 거주자를 중심으로-. 패션비지니스, 12(2), 117-133.
  2. 고순옥. (1987). 백화점 쇼윈도우 디스플레이를 위한 VMD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은주, 송윤아. (2004). 국내 의류브랜드의 중국진출 현황 및 마케팅전략 제안. 한국의류학회지, 28(2), 212-223.
  4. 권혜숙, 신은경. (2007). 의류쇼핑가치와 쇼윈도우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 패션비즈니스, 11(5), 64-78.
  5. 김승희. (1987). 디스플레이가 의상구매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정. (1993). 의복구매시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재은, 박길순. (2004). 한류현상이 중국 신세대 패션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8(1), 154-164.
  8. 김정원, 사일. (2009). 중국 대련 남자대학생의 패션행동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1), 93-102.
  9. 김진원. (2000). 쇼핑가치, 점포속성 및 과업상황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의류점포내 감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對中패션사업 다시 활기 띤다. (2009, 09. 14). 어패럴 뉴스. 자료검색일 2009. 11. 01, 자료출처, http://www.appnews.co.kr
  11. 박길순. (2004). 중국의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한류현상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3(6), 967-983.
  12. 박수경. (2007).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의류제품 만족에 관한 비교문화연구-청바지에 대한 친숙도와 추구 이미지를 중심으로-. 복식 문화연구, 15(1), 169-178.
  13. 박현희. (2005). 패션 VMD의 브랜드의 태도효과 모형에 관한 구조적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박현희, 구양숙, 구동모. (2007).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패션제품 속성 평가 및 브랜드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가격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2), 236-246.
  15. 박현희, 이금, 전중옥. (2009). 한국과 중국의 온라인 비주얼 머천다이징 실행에 관한 비교분석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6), 916-928. https://doi.org/10.5850/JKSCT.2009.33.6.916
  16. 박현희, 전중옥. (2008). 비주얼 머천다이징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13(3), 1-20.
  17. 박혜원, 장춘희. (2005). 대중국 마케팅을 위한 중국 직장여성들의 한국 의류상품 구매집단과 비구매집단의 의복구매행동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3/4), 547-560.
  18. 박혜원, 장춘희, 신혜봉. (2005). 중국 대도시 직장여성들의 의복구매 행동 비교연구-북경, 상해, 심천, 장춘의 20-30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1), 124-135.
  19. 손미영, 김용주, 지혜경. (2007). 한국 패션기업의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중국시장 활용 전략 연구-일반화된 더블다이몬드 모델의 변수를 이용한 한, 중 패션산업의 경쟁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4), 507-518. https://doi.org/10.5850/JKSCT.2007.31.4.507
  20. 손미영, 이은영. (2003). 한국 패션기업의 세계화 추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219-1228.
  21. 손희순, 위혜정, 김은희, 강연경. (2005). 중국 성인여성의 체형연구(제1보)-북경, 상해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9(1), 137-151.
  22. 신수연, 장은영. (2007). 중국 진출 국내 패션 브랜드의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전략. 복식문화연구, 15(3), 483-495.
  23. 심부자, 서추연, 이소영. (2008). 중국 중년 남성의 슬랙스 패턴 설계를 위한 하반신 체간부 유형분석-절강성 영파 지역을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2(2), 87-99.
  24. 안광호, 임병훈. (2006).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조사방법론(개정판). 파주: 학현사.
  25. 오희선. (2008). 매장의 VM과 쇼핑가치가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남자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3), 316-321.
  26. 유국련, 김용숙. (2002). 중국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태도 및 구매행동. 복식, 52(5), 15-30.
  27. 유혜경. (1998). 중국 의류소비자 특성 고찰. 한국의류학회지, 22(2), 233-240.
  28. 유혜경. (2008). 한국산 의류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인식변화: 종단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12), 1878-1890. https://doi.org/10.5850/JKSCT.2008.32.12.1878
  29. 이미숙. (2007). 신뢰 및 인지된 위험이 RFID 기술수용에 미치는 영향 -기업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 실증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미숙. (2009). VMD 구성요소가 점포이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의류매장의 실내색상과 상품수량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247-257 https://doi.org/10.5934/KJHE.2009.18.1.247
  31. 이소은, 임숙자. (2008). VMD 효과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6(5), 795-811.
  32. 이연순, 박성혜, 박윤아. (1993). 의류매장 종류에 따른 쇼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2), 205-211.
  33. 이혜용. (1982). 의상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쇼윈도우 디스플레이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임종원, 김재일, 홍성태, 이유재. (1994). 소비자 행동론. 서울: 경문사.
  35. 추호정. (1998). 의류점포내 구매환경 만족도가 고객의 점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표희수. (2005). 골프웨어 소비자들의 쇼핑가치에 따른 점포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홍금희, 유정. (2009). 중국 여자대학생의 유행선도력과 한류 선호에 따른 패션 브랜드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3(4), 655-665. https://doi.org/10.5850/JKSCT.2009.33.4.655
  38. Babin, B. J., Darden, W. R., & Griffin, M.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4), 644-656. https://doi.org/10.1086/209376
  39. Baker, J., Levy, M., & Grewal, D. (1992). An experimental approach to making retail store environmental decisions. Journal of Retailing, 68(4), 445-460.
  40. Bloch, P. H., & Richins, M. L. (1983). Shopping without purchase: An investigation of consumer browsing behavio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0(1), 389-393.
  41. Chen, C., & Shih, H. (2004). The impact of WTO accession on the Chinese garment industry.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8(2), 221-229. https://doi.org/10.1108/13612020410537906
  42. Durvasula, S., Andrew, J. C., Lysonski, S., & Netmeyer, R. G. (1993). Assessing the cross-cultural applicability of consumer behavior models: A model of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 General.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4), 626-636. https://doi.org/10.1086/209327
  43. Homer, P. M. (1995). Ad size as an indicator of perceived advertising costs and effort: The effects on memory and perception. Journal of Advertising, 24(4), 1-12.
  44. Mackenzie, S. B., Lutz, R. J., & Belch, G. E. (1986).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3(2), 130-143. https://doi.org/10.2307/3151660
  45. Mackenzie, S. B., & Lutz, R. J. (1989). An empirical examination of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in the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53(2), 48-65. https://doi.org/10.2307/1251413
  46. Parker, R. S., Hermans, C. M., & Schaefer, A. D. (2004). Fashion consciousness of Chinese, Japanese and American teenager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8(2), 176-186. https://doi.org/10.1108/13612020410537870
  47. Rahman, O., Zhu, X., & Liu, W. (2008). A study of the pajamas purchasing behaviour of Chinese consumers in Hangzhou, China.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2(2), 217-231. https://doi.org/10.1108/13612020810874890
  48. Schehter, L. (1984). A normative conception of value. progressive grocer, 12-14.
  49. Wu, J., & Delong, M. (2006). Chinese perceptions of western-branded denim jeans: A Shanghai case study.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0(2), 238-250. https://doi.org/10.1108/13612020610667531
  50. Yoo, B., & Donthu, N. (2001). Developing and validity a multidimensional consumer-based brand equity scal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2(1), 1-14. https://doi.org/10.1016/S0148-2963(99)000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