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권기원, 이규승. 1993. 제지슬러지 가공비료의 시용이 수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12(3): 219- 229.
- 농업기술연구소. 1988. 토양화학분석법. 농촌진흥청. 450p.
- 류지훈, 이종진, 홍주화, 장기운, 이규승, 박관수, 한기필. 2010. 댐부유물 톱밥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퇴비화 연구. 유기성자원학회지. 18(1): 98-103.
- 이규승, 최종우, 송재영, 김문규. 1991. 제지스럿지 시용토양의 성질 변화. 충남대. 농업과학연구보고. 18(1): 74-79.
- 장기운, 김상덕, 최우영, 이규승. 1992. 제지 스럿지 퇴비의 농업적 이용연구. I, 강낭콩에 대한 시용효과. 한토비지. 25(2): 149-154.
- 허종수, 김광식, 하오성. 1988. 제지슬러지의 시용이 논토양의 화학성과 수도생육에 미치는 영향 III, 슬러지 시용이 수도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농지. 7(1): 26- 33.
- 허종수, 김광식, 하오성. 1987. 제지슬러지의 시용이 논토양의 화학성과 수도생육에 미치는 영향 IV, 슬러지 시용이 토양중 휘발성 저급 지조산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농지. 7(1): 34-42.
- 한국수자원공사. 2008. 전국다목적댐 탁수 및 부유물 발생원 사전 합동 점검 계획 보고.
- 환경부. 2002. 토양환경보전법 시행령.
- 환경부. 2008. 하수슬러지 관리 종합 대책(수정).
- 한순교, 이화형. 1987. 제지 스럿지 비료화 연구, 한국펄프.종이공학회지. 19(2): 56-63.
- Bures, D. and Soliva, M. 1983. Composting sewage sludge-pine bark. Acta Horticulture. 150: 545-551.
- Choi, Y.B. and J.H. Kim. 1995. Change in needle chlorophyll fluorescence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treated with artificial acid rain. Jour. Korean For. Soc. 84(1): 97-102.
- Coosemans, J., C. Van Assche. 1983. possibilities of sewage sludge used as a fertilizer in agriculture, Acta Horticulture 150: 491-502.
- Demarez, V., J.P. Gastellu-etchegorry, E. Mougin, G. Marty, C. Proisy. 1999. Seasonal variation of leaf chlorophyll content of a temperate forest. Inversion of the PROSPECT model. Int. J. Remote Sensing. 20(5): 879-894. https://doi.org/10.1080/014311699212975
- Epstein, E., J.M. Taylor, R.L. Chaney. 1976. Effects of sewage sludge and sludge compost applied to soil on som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J. Environ. Qual. 5(4): 422-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