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기획 BIM의 공간 프로그래밍 단계에서 발주자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물량예측 방법론에 관한 연구 -건축마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ess of Estimating the Amount of Materials for Client's Decision-Making Support in Space Programming Stage of Pre-design BIM -focusing on Building Interior Finishing-

  • 투고 : 2010.09.10
  • 심사 : 2010.12.13
  • 발행 : 2010.12.26

초록

The construction projects are recently having changes in their magnitude and complexity. Therefore, the amount of information created and managed by participants over project phases is enormous and this may cause difficulties in consistent and integrated data management. Because of the change in construction projects, there is a need to apply more logical and systematic ways to deal integrated data management. For the solution to this,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 new paradig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over project life-cycle, has been seriously considered. Also, the Korean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nounced that project over 50 billion Korean Won should introduce BIM into procurement starting from 2012. However, the studies and development have lack on studies of applying BIM and managing the data made using BIM in pre-design and maintenance stage. In pre-design stage, the concept of schematic design model is made to support for making major decisions concerning the size, shape and cost of the project. To decide the cost for the building in this stage by making use of BIM, estimating the amount of building materials used for constructing should be preceded. In this study, the pre-design BIM is explained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its process, since this paper focused on space programming stage. Finally, the paper suggests the concept process of estimating the amount of materials in building interior finishing from selecting the type for the elements of each space made to support the client for making decisions in space programming stage based on pre-design BIM.

키워드

참고문헌

  1. 박동진, BIM을 활용한 건축 기획 단계 사업 참여자 의사결정 지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2010
  2. 김재준, 건축 기획 단계와 BIM, 건축 제52권 제6호, 대한건축학회 학회지, 2008, p.p.40-43
  3. 조달청, 3D 건축기법(BIM)적용 확대한다, 4월 15일 조달청 보도자료, 2010
  4. 구원용, 김정곤, 이준석, 박형근, 공공건축물의 초기공사비 산정방법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2007
  5. 김성아, BIM 기반 견적 작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마감 모델링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 마감 물량 산출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08
  6. 박영섭, 공간배치 평가모델 개발 -공간프로그램의 유효성검사를 중심으로-, 공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9
  7. 국토해양부, 건축분야 BIM 적용 가이드라인, 2010
  8. 가상건설 연구단, BIM 적용 설계가이드라인 Ver 2.0, 2010
  9. 박일우, 박영기, 건축기획의 개념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 학회지, 대한건축학회, 2001
  10. 조정래, 건축설계초기단계에 있어 건축기획업무 구성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000
  11. Robert G. Hershberger, Architectural Programming & Predesign Manager, McGraw-Hill, 1999
  12. 김상현, 공공 프로젝트 기획단계의 BIM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공학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09
  13. 함남혁, BIM을 활용한 건축 기획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08
  14. 김기홍, 건축 적산 및 견적 정보화의 발전 현황과 전망, 대한건축학회 학회지, 건축 제50권 제10호, 2006
  15. 이민철, 장규남, 옥종호, 공공건축물 공사비 산정 특성을 반영한 BIM 속성정보모델링 구축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16. GSA, GSA BIM Guide Series 02: BIM Guide for Spatial Program Validation, 2007
  17. 박영섭, 최재필, 네트워크형 공간분석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대한건축학회, 2004
  18. Benner J., Geiger A., Leinemann K., Flexible Generation of Semantic 3D Building Models, Next Generation 3D City Models, Bonn, 2005
  19. 염정호, 실내공간인지를 위한 IFC기반의 공간추론 플랫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09
  20. Tarek Hegazy, Improving Design Coordination for Building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1
  21. Senate, BIM Requirements 2007 -Quantity take-off-, 2007
  22. IAI 홈페이지 (www.iainstitute.org)
  23. Trelligence Affinity 홈페이지 (www.trelligence.com)
  24. Autodesk 홈페이지 (www.autodes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