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and Regional Disparity of Elderly Housing Conditions in Rural Areas, 1995~2005

최저주거기준으로 측정한 농촌지역 고령자의 주거수준 변화와 지역간 격차, 1995~2005

  • Kim, Hyun-Joong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 ;
  • Kang, Dong-Woo (Institute of Regional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 ;
  • Lee, Seong-Woo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
  • 김현중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
  • 강동우 (서울대학교 지역개발조경연구소) ;
  • 이성우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 Received : 2010.02.11
  • Accepted : 2010.03.15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As people get aged,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lderly living condition with respect to welfare policy.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housing condition of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 and analyzes its determinants, periodical difference, and regional disparities, incorporating an index of minimum housing standard. This study applies multi-level logit model that has a strong statistical advantage that can take random aspects of household and regional context into account. We found that married couple household, presence of economically-active family members, higher education, specialized profession, migration and higher level of land price tend to lower the probability of residing in substandard housings. We also found that housing conditions for elderly people prove to be different by regions and it is particularly noticeable in mountainous rural areas i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with the poorest elderly housing conditions. Results also implies that housing welfare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differently considering the target groups based on regional differences. We conclude with some additiona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

References

  1. 강미나, 김혜승 외, 2007, 노인주거복지 제고를 위한 종합계획 수립연구. 고령자 생활패턴 분석을 통한 주거환경 편리성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 건설교통부, 1995, 1995년차 지가공시에 관한 연차 보고서.
  3. 건설교통부, 2005, 2005년차 지가공시에 관한 연차 보고서.
  4. 건설교통부, 2006, 고령자 주거지원 중장기 계획수립 연구.
  5. 김경혜, 1998, 노인들의 동거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8(1), 107-122.
  6. 김근용, 윤주현 외, 2003, 국민주거안정을 위한 주택정책 개편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7. 김미영, 이성우, 2009, 노부모.자녀 동거의 결정요인과 지역간 차이, 1995-2005, 농촌계획, 15(4), 89-107.
  8. 김성연, 2006, 최저주거기준을 활용한 주거복지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주택도시, 58, 47-58.
  9. 김승희, 2009, 고령가구 주거실태에 관한 연구 : 강원도 3개시를 대상으로, 주거환경, 7(2), 15-25.
  10. 김혜승, 2007, 최저주거기준을 활용한 2006년 주거복지 소요추정 연구, 국토연구원.
  11. 김혜승, 김태환, 2008, 최저주거기준의 의의와 기준 미달가구 규모 추정, 국토논단, 96-107
  12. 보건복지부, 2005, 농어촌복합노인복지단지 조성사업 추진계획.
  13. 서울특별시, 1997, 복지주거기준제도 도입을 위한 주거기준 및 정책개발연구.
  14. 손경환, 김혜승 외, 2003, 주택종합계획 (2003-2012)수립 연구, 국토연구원.
  15. 유경문, 1990, 인구이동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한국의 경우( 1966-1985)를 중심으로, 한국경제학회 제 4차 국제학술회의, 3915-3983.
  16. 유성호, 2000, 노인과 성인자녀의 별거를 결정하는 요인, 그 이론적 탐색 2, 노인복지연구, 169-185.
  17. 윤주현, 강미나 외, 2004, 인구고령화와 노인주거: 고령화사회 노인주거의 현황과 정책과제. 국토연구원.
  18. 윤주현, 김근용 외, 2005, 지역간.계층간 주거서비스 격차 완화방안 연구(I) : 주거서비스 지표의 개발 및 측정, 국토연구원.
  19. 윤주현, 김근용 외, 2006, 지역간.계층간 주거서비스 격차 완화방안 연구(II) : 시도별 정책방안 모색, 국토연구원.
  20. 윤희정, 김태현 외, 2009, 최저주거기준의 읍.면지역 적용 및 문제점 분석, 국토계획, 44(4), 7-20
  21. 이길순, 이원용, 1994, 농촌 주거수준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5( 1), 31-41.
  22. 이미자, 2008, 고령 세대주의 주거선호와 주택소유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0(1),41-58.
  23. 이성우, 민성희, 2002, 주거밀도로 측정한 출신지역별 주거수준 차이 1990-2000, 국토계획, 37(7),137-155.
  24. 이성우, 윤성도 외, 2006, 공간계량모형응용, 서울, 박영사.
  25. 이성우, 임형백, 2003, 편견 및 편향적 지역개발 가설의 유효성.주거 밀도를 적용할 경우,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5(2), 91-112.
  26. 이성재, 2007,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특성 연구: 전주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12),269-276.
  27. 임형백, 민성희 외, 2009, 최저주거기준으로 측정한 출신지별 주거수준의 차이 1980-2000, 한국지방자치학회, 21(1), 55-78.
  28. 장경석, 김준형, 2003, 대학생 주거비부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서울대 재학생을 중심으로, 주거복지연대 주최 대학생주거복지와 정책과제에 관한 워크숍 자료집.
  29. 장영희, 2007, 고령화시대 노인주거복지 정책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0. 장영희, 2009, 서울시 노인주거 특성과 노인주거시설 수요 연구, 주택 연구, 17(4), 95-114.
  31. 전광섭, 2007, 한국 역대정부의 주택정책 만족도 연구, 주택 연구, 15(1), 149-187.
  32. 주거복지연대, 2002, 주거복지백서: 주거빈곤가구의 지역별 주거대책을 중심으로.
  33. 천진홍, 이성우, 2007, 이주 유형이 자가소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결정요인과 이동유형별 주거선택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6), 651-673.
  34. 통계청, 2005, 장래인구특별추계.
  35. Champlin, R. and A. Freeman, 1999, Towards an Accurate De of Affordability, Urban Studies, 36(11),1949-1957. https://doi.org/10.1080/0042098992692
  36. ChatteIjee, S, and B, Price, 1991, Regression Analysis by Exampl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7. Clark, W. A. V. and F. M. Dielenmn, 1996, Households and Housing: Choice and Outcomes in the Housing Markets, New Brunswick, USA, Center for Urban Policy Research.
  38. Coulson, N. E., 1999, Why Are Hispanic and Asian American Homeownership Rates so Low? : Immigration and Other Factors, Journal of Urban Economics, 45, 209-227. https://doi.org/10.1006/juec.1998.2094
  39. Gyourko, J. and P. Linneman, 1997, The Changing Influences of Education, Income, Family Structure, and Race on Homeownership by Age over Time, Journal of Housing Research, 8(1), 1-24.
  40. Haurin, D. R., P. H. Hendershott, and D. C. Ling, 1988, Homeownership Rates of Married Couples: An Econometric Investigation, Housing Finance Review, 7, 85-108.
  41. Jennrich, R. I., Schulchter, M. D.,1986, Unbalanced Repeated-Measures Models with Structured Covariance Matrices, Biometics 42, 805-820 https://doi.org/10.2307/2530695
  42. Luke, D. A., 2004, Multilevel Modeling, Thousand Oaks, London, New Delhi : SagePublications.
  43. Megbolugbe, I. F. and D. Linneman, 1993, Home Ownership, Urban Studies, 30, 659-682. https://doi.org/10.1080/00420989320081861
  44. Murie, A., F. M. Dieleman, and P. Hooimeijer, 1991, Housing Asset Values and The Mobility of Elderly Homeowners, Housing Research and Policy Issues, The Netherlands Journal of Housing and Environmental Research, 1, 21-35.
  45. Myers, D. and S. W. Lee, 1998, Immigrant Trajectories into Homeownership: A Temporal Analysis of Residential Assimilation,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32, 593-625. https://doi.org/10.2307/2547765
  46. Myers, D., 1990, Housing Demography: Linkng Demographic Structure and Housing Markets, Wisconsi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