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stimation of a Probability to visit the Yeosu Aquarium with an Ordered Logit Model

순서형 로짓 모형을 이용한 여수 아쿠아리움 방문확률의 추정

  • Lee, Chang-Keun (Regional Informati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 Jae-Yeon (Regional Informati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Eui-June (Regional Informati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창근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
  • 하재연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
  • 김의준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 Received : 2009.11.05
  • Accepted : 2009.12.09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a probability to visit the Yeosu Aquarium with an ordered logit model. Ordered logit model is affordable to estimate the probability when the dependant variable represents likert-type scale. The estimated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re income induces the visiting-expectation. The experience for another aquarium and the visiting-expectation for the Yeosu EXPO are contributed to the visiting-expectation for the Yeosu Aquarium. The needs to visit the Yeosu Aquarium is low in Kyoungsang area and Seoul-Kyounggi-Incheun Metropolitan area. This is related to the Aquarium facilities, which were established in each area. In average level conditions regarding to all independent variables the probability to visit the Yeosu Aquarium is calculated to 15.75%. However, the probability to visit to the Yeosu Aquarium is decreas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an admission fee.

Keywords

References

  1. 김덕기, 염세호, 2000, 주제공원의 수요함수 추정, 관광학연구, 23(2), 227-245.
  2. 김효진, 한범수, 2007, 관광지 개발계획 수요추정 방법 고찰 및 평가: 전국 27개 관광지 개발계획을 대상으로, 문화관광연구, 9(1), 97-111.
  3. 송근석, 이혜숙, 2006, 관광수요예측모형의 정확성 비교에 관한 연구, 관광정보연구, 23, 83-111.
  4. 오민재, 2007, 테마파크 이용자의 선택속성에 따른 포지셔닝 연구: 수도권 4개 테마파크를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21(1), 113-127.
  5. 윤형호, 박종구, 박미숙, 2007, 수도권 주제공원 방문빈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8(1), 55-67.
  6. 이성우, 민성희, 박지영, 윤성도, 2005, 로짓.프라 빗모형 응용, 박영사
  7. 이애주, 김희진, 2000, 추구편익에 따른 주제공원 방문객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4(1), 93-114.
  8. 이희찬, 김영, 안형수, 김은자, 2003, 농촌관광 수요 모형 개발 연구, 관광학연구, 27(2), 197-212.
  9. 임은순, 1990, 한국관광에 대한 미국인, 일본인 및 대만인 방문수요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14, 141-156.
  10. 정의선, 김경숙, 2002, 강원 동해안 해수욕 방문객의 수요예측과 정책적 시사, 관광학연구, 26(1), 255-271.
  11. 최병길, 고계성, 2004, 제주지역 관광업도객수 수요 예측, 관광정책학연구, 10(2), 199-211.
  12. 최승복, 오세두, 2003, 부산지역역사문화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내외래 관광객의 수요추정 기초조사연구, 디자인학연구, 17(2), 33-42.
  13. 한국경제조사연구원, 2008, 제주해양과학관 수요분석보고서.
  14. 한국개발연구원, 2000, 문화.관광.체육.과학 부분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
  15. 한국개발연구원, 2001, 국립해양박물관 건립사업.
  16. 한국개발연구원, 2003, 여수해양수산빅물관 건립사업.
  17. 한국개발연구원, 2005, 2012 여수박람회 유치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
  18. 한국개발연구원, 2006, 제주공립해양과학관 건립사업.
  19.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2012 여수세계박람회 수요예측.
  20. 홍성권, 1997a, 주제공원 이용자들의 선택행동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4), 96-111.
  21. 홍성권, 1997b, 수도권내 주요 주제공원 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관광학연구, 21(1), 85-101.
  22. McClung, G. W., 1991, Theme park selection: Factors Influencing Attendance, Tourism Management, 12, 132-140. https://doi.org/10.1016/0261-5177(91)90068-5
  23. Milman, A., 1993, Theme Parks and Attraction, Travel and Tourism, 934-944.
  24. Moutinho, L., 1988, Amusement Park Visitor Behaviour-Scottich Attitudes, Tourism Management, 9(4), 291-300. https://doi.org/10.1016/0261-5177(88)90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