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ronomic Characteristics of Sorghum bicolor (L.) Moench Germplasm

수수 유전자원의 작물학적 특성

  • 윤성탁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허진우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장경우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김인숙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김태호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남중창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Received : 2010.03.07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Crop characteristics of 179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resources collect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crop breeding. Spike types of 179 sorghum resources were classified as 5 types of open-loose type, broom-tillering type, half broom-tillering type, extreme-compact type and compact type, of which broom-tillering type was the highest ratio of 38.0% (68 plant resources) of 179 germplasm. In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pike awn in 179 sorghum resources, 28.5% (51 plant resources) showed existence of spike awn, whereas the rest of 71.5% (128 plant resources) had no spike awn. Seed type was classified as 5 types, of which circle-shap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43.0% (77 plant resources) and the lowest was inclined-circle shape by 7.3% (13 plant resources). Seed color was classified as 4 colors of brown, white, whitish brown, and yellowish brown, of which yellowish brown was the highest ratio of 84.4% (151 plant resources) among them.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date showed the range from 67 to 88 days with the average of 77.4 days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76 to 80 days, which occupied 37.4% (67 plant resources) of 179 germplasm. 179 sorghum resources showed high variation in the range of culm length with the average of 253.8 cm and group from 92 cm to 360 cm of culm lengt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20.6% (37 plant resources). Spike length showed the range from 15 to 49 cm with the average of 28.8 cm and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31 to 35 cm with the proportion of 26.3% (47 plant resources), whereas the lowest was below 15 cm with the proportion of 0.6%. Days from seed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showed the range from 110 to 146 days with the average of 125.5 days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39.7%) of it was the group from 111 to 115 days, while there were also occupied with 2 plant resources below 110 days and 23 plant resources over 141 days among 179 germplasm. Number of grains per spike showed the range from 163 to 4,532 grains with the average of 2,068.6 grains and group from 1,601 to 2,000 grains per spike was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with the proportion of 25.7% (46 plant resources). 1000 grains weight showed the range from 10.6 to 38.1g with the average of 25.6g and group from 26.0 to 30.0g was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with the proportion of 44.1% (79 plant resources).

수년 동안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수수 179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작물학적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수의 수형은 산수형, 소경수수형, 반소경수수형, 극밀수형, 및 밀수형의 5가지 수형이 존재하였으며, 수형별 빈도를 보면 소경수수형이 38.0%(68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극밀수형 및 밀수형이 각각 16.2%, 7.8%로 가장 적었다. 2. 수수 이삭의 까락 유무는 28.5%(51자원)가 까락을 갖고 있었으며, 나머지 71.5%(128자원)는 까락이 없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3. 종실형태는 43.0%(77자원)가 원형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편원형이 7.3%(13자원)로 가장 적었다. 종피색은 황갈색이 84.4%(151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갈색 및 흰색이 똑같이 1.1%로 가장 적었다. 4. 수수 179자원의 출수소요일은 67~88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77.4일이었다. 출수소요일의 분포는 179자원 중 76~80일이 37.4%(67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86일 이상도 5.6%이었으며, 70일 이전에 출수한 자원도 10.0%를 나타내었다. 5. 간장은 92~360 cm의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은 253.8 cm로 변이의 폭이 컷다. 간장의 분포는 291~310 cm가 20.6% (37자원)로 가장 많았다. 6. 수장은 15~49 cm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28.8 cm이었다. 수장의 분포는 31~35 cm가 26.3%(47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15 cm 이하가 0.6%로 가장 적었다. 7. 생육일수는 110~146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 폭이 상당히 큼을 알 수 있었고, 평균은 125.5일이었다. 생육기간의 빈도는 111~115일이 39.7%(71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110일 이하와 141일 이상에 속하는 자원도 각각 2, 23자원이나 되었다. 8. 1수립수의 범위는 163~4,532개로 변이 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2,068.6개 이었다. 1수립수 분포는 1,601~2,000개가 25.7%(46자원)로 가장 많았다. 9. 공시된 179 유전자원의 1000립중은 범위가 10.6~38.1 g으로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25.6 g이었다. 1000립중의 분포는 26.0~30.0 g가 전체의 44.1%(79자원)로 가장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Burton, G. W., W. A. Wallace and K. O. Rachie. 1972.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pearl millet grain. Crop Sci. 12 : 187-188. https://doi.org/10.2135/cropsci1972.0011183X001200020009x
  2. Choi, B. H. 1992. Traditional Pearl Millet Foods in Africa and Asia. Korean J. Breed., 24(4) : 376-385.
  3. Jong, K. S. and Cho, D. S. 1995. Possible Utilization of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as a Forage Crop. Korean J. Crop Sci. 40(3) : 351-358.
  4. Kim, S. J. 1990. Korean standard color chart book.
  5. Park, H. S., M. S. Ko, J. T. Kim, K. W. Oh, and S. B. Pae. 1999.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ommon Millet(Panicum miliaceum L.) Varieties. Korean J. Breed. 31(4) : 428-433.
  6. 김상곤․박홍재․정동희․권병선. 1995. 단수수의 파종기에 따른 절간별 당도차이. 한작지 40(4): 451-459.
  7. 강정훈․이호진. 1996. 사료용 수수 1대잡종 육성 모재선정을 위한 도입유전자원의 품종군 분류. 한작지 41(3): 266-273.
  8. 강정훈․이호진. 1996. 청예용 수수류 1대잡종의 생육형질 및 건물생산에 대한 잡종강세. 한작지 41(6): 640-649.
  9. 李仁中.金吉雄. 1997. 수수 지베렐린 함량의 일중 변화에 미치는 일장효과. 한작지 42(5) : 556-563.
  10. 李仁中.金吉雄. 1997. 수수 절간신장에 미치는 지베렐린과 파이토크롬 B의 영향. 한작지 42(5) : 548-555.
  11. 조재영. 2004. 사정전작. 향문사 pp: 226-237.
  12. 최병한. 1994. 건강별미 잡곡 찰수수의 영양과 조기재배방법. 연구와 지도 34(4) : 120-123.
  13. 최병한.김성국.송득영.조성흥.진문섭.박근용. 1996. 수수 도입유전자원의 생육특성 및 종실 수량성. 한국국제농업 개발학회지 8(2) : 143-150.
  14. 홍기창․권혁지․김철수. 1977. 수수의 사료가치에 관한 육종적 연구, II. 수수의 당류 및 전 질소함량의 변이폭에 관하여. 한육지 9(1): 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