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판본 "대동여지전도(大東輿地全圖)"의 특징과 가치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ood Block Printed Daedongyeojijeondo

  • Oh, Sang-Hak (Dept. of Geography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2.28
  • 심사 : 2010.03.11
  • 발행 : 2010.03.31

초록

대동여지전도는 표기된 지명과 "대동여지도"와의 관련성으로 볼 때 1861년대에서 1866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동여지전도"는 일부에서의 주장처럼 내용이 조잡하고 오류가 많은 지도가 아니라 오히려 "대동여지도"의 표현기법을 활용하면서도 최신의 정보를 수록하고 있으며 도리(道里)의 표기에서는 19세기의 대표적인 목판본 지도인 "해좌전도"보다 훨씬 뛰어나다. "대동여지도"가 군사 행정적 목적에서 제작된 관부용(官府用)지도라면 "대동여지전도"는 군사 행정적 사항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내용들도 많이 반영된 대중용 지도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대동여지전도"에는 당시 사람들이 지니고 있던 산천인식 체계가 잘 반영되어 있는데, 국토를 살아있는 생명체에 비유하는 유기체적 관점이 지도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산수분합(山水分合)의 원리가 지도상에 잘 구현되어 있으며 도로망과 거리의 표시, 호수(湖水)영향권의 표시 등은 현대지도에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The production period of Daedongyeojijeondo is estimated from 1861 to 1866 in consideration of place names. Daedongyeojijeondo is elaborated enough that there are the latest data in, especially is better than Haejwajeondo that is a representative map in the 19th century in marking distance. Daedongyeojido is an official map for national defense and administration, on the other hand Daedongyeojijeondo is a popular map in which social and economical contents are included. The recognition of mountains and rivers based on organic view of the land is also represented in Daedongyeojijeondo, and the principle of the whole of mountains and rivers is well reflected. It is far better than modem maps in the expression of road system and distances, tidal area in river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제주대학교

참고문헌

  1. Kim, Y. U. and Kim, Y. G., History of Mathematics in Korea, Yeolhwadang, Seoul (金容雲.金容局, 1977, 韓國數學史, 悅話堂, 서울).
  2. Lee, C., 1991, Old Maps of Korea, Beomusa, Seoul (이찬, 1991, 한국의 고지도, 범우사).
  3. Lee, S.-T., 1999, History of Old Maps in Korea, Hyean, Seoul (이상태, 1999, 한국 고지도 발달사, 혜안, 서울).
  4. Lee, U. H., 1990, Reading of Daedongyeojido, Ghwagnudang, Seoul (李祐炯, 1990, 大東輿地 圖의 讀圖, 匡祐堂).
  5. Oh, S.-H., 1994, A study on Donggukjido made by Jeong Sang-Gi: Focused mapmaking and genealogy of manuscripts, Journal of Geography, 24, 133-155 (in Korean).
  6. Oh, S.-H., 2005a, A study on place names in Daedongyeojido: Focused on place names of Geonggi province, Journal of Geography, 45, 395-413 (in Korean).
  7. Oh, S.-H., 2005b, Image of Life world, Old Maps,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오상학, 2005b, 옛 삶터의 모습 고지도, 국립중앙박물관).
  8. Oh, S.-H., 2009, The change in perception of Tsushima represented in maps of the Joseon Dynasty,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3(2), 203-220 (in Korean).
  9. Won, G.-Y., 1991, A Study of Daedongyeojido, Seongjimunhwasa, Seoul (元慶烈, 1991, 大東輿 地圖의 硏究, 成地文化社).
  10. Yang, B. G. and Yang, Y. J., 2006, A study of woodcut print general map Haejwajeondo in Joseon period,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18(1), 63-77 (in Korean).
  11. Yoon, H.-K., 1992, A preliminary study on preface of Daedongyeojijeondo,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4, 97-107 (in Korean).
  12. The Segye Times, 1991. 4. 26.
  13. The Segye Times, 1991. 4. 30.
  14. The Segye Times, 1991. 5. 10.
  15. 大東地志, 金正浩, 아세아문화사 영인본(1976).
  16. 東史綱目, 安鼎福,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
  17. 旅菴全書, 申景濬, 경인문화사 영인본(1976).
  18. 국역練藜室記述, 李肯翊, 민족문화추진회(1982).
  19. 擇里志, 李重煥,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
  20. 東國歷代總目, 洪萬宗,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21. 新增東國輿地勝覽, 아세아문화사 영인본.
  22. 七政算內篇,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
  23. 大東輿地全圖,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24. 大東輿地圖,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25. 海左全圖,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26. 大東輿地全圖(소형),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