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anjointang on Hemodynamic Functions of Isolated Rat Heart Induced by Sleep Deprivation

산조인탕이 수면박탈 흰쥐 심장의 혈역학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Shin, Yu-J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im, Deog-G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신유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덕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10.11.26
  • Accepted : 2010.12.1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Objectives: Sanjointang has been clinically used much for treating sleeplessness. However, the effects of Sanjointang in artificial sleep deprivation situations are not 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eart rate, lef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left ventricular diastolic pressure, +dp/dt maximum, -dp/dt maximum, and -dp/dt / +dp/dt ratio which are related to the hemodynamic functions of the heart by using sleep-deprived Sparague-Dawley rats, in order to clarify the impact of Sanjointang on hemodynamic functions of the heart of sleep deprived rats. Methods: Eighteen hearts were removed from the male Sparague-Dawley rats weighting about 180g were perfused by the Langendorff technique with modified 37 Krebs-Henseleit's buffer solution at a constant perfusion pressure (60mmHg).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three groups, 1) Normal group (those which did not have sleep deprivation and received normal saline administration), 2) Control group (sleep deprived and normal saline administered), 3) Sample group (sleep deprived and Sanjointang was administered). Control and sample groups rats were deprived 96 hours of sleep by using the modified multiple platform technique. Heart rate, lef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left ventricular diastolic pressure, +dp/dt maximum, -dp/dt maximum, -dp/dt / +dp/dt ratio were evaluated at baseline after the administration of either normal saline or Sanjointang. Results: The heart rate and -dp/dt / +dp/dt ratio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rats with 96 hours of sleep deprive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hange in the heart rate after administering Sanjointan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lef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of the removed heart significantly decreased due to Sanjointang administration, while the left ventricular diastolic pressu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he +dp/dt maximum and -dp/dt maximum both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emoved heart after administering Sanjointang.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in the -dp/dt / +dp/dt ratio after administering Sanjointang.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sleep deprivation significantly decreases heart rate and -dp/dt / +dp/dt ratio. This is considered as a result of exhaustion due to accumulation of fatigue. Meanwhile, Sanjointang reduced lef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and raised left ventricular diastolic pressure, and relieved the contractility and relaxation of the myocardium. Consequently, this reduces the burden of the heart and creates a relatively stabilized heart condition similar to a sleeping condition.

Keywords

References

  1. 이문호. 내과학. 서울:학림사. 1986:211-9.
  2. 김현, 김린, 서광윤. 전수면박탈이 정상성인의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수면.정신생리. 2000;7(2):88-95.
  3. 김석주, 이유진. 국내 중고교생 수면부족 실태 조사. Accessed online August 11, 2010. at: http://news.mk. co.kr/v3/view.php?year=2010&no=430829.
  4. 송형석, 박영민, 남민, 김린. 서울 거주 중.고등학교 학생의 학년별 수면 양상. 수면.정신 생리. 2000;7(1): 51-9.
  5. 박기형. 수면박탈에 의한 영향. 대한수면연구학회지. 2007;4(1):10-6.
  6. 채규영. 수면의 생리.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7;50(8):711-7. https://doi.org/10.3345/kjp.2007.50.8.711
  7. 황의완, 김지혁. 동의정신의학. 서울:현대의학서적사. 1987:683-6.
  8. 김달호, 이종형. 황제내경소문(상). 서울:의성당. 2001: 680,740,1206.
  9. 김달호, 이종형. 황제내경영추. 서울:의성당. 2001:557, 668, 1410.
  10. 최승훈. 난경입문. 서울:법인문화사. 1998:228.
  11. 趙佶編. 聖濟總錄.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78:3129-76.
  12. 陣士鐸. 石室秘錄.. 서울:대성문화사. 1993:57.
  13. 何紹奇. 現代中醫內科學. 北京:中醫醫藥科技出版社. 1994:492.
  14.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편. 한방신경정신의학. 서울:집문당. 2005:239-45.
  15. 장진실, 정인철, 이상룡. 불면의 병인, 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4; 13(1):331-43.
  16. 최희석. 산조인의 GABA 수용체를 통한 Pentobarbital 유도 수면 연장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익산:원광대학교대학원. 2007.
  17.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 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346, 530-2, 584-7.
  18. 김인구, 김중한. 황제내경(黃帝內經)에 나타난 불면의 원인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5;18(1):57-66.
  19. 박문상, 성락기. 수면장애의 병인병기 및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8;6(2):483-501.
  20. 노석균, 정대규. 불면의 원인 및 치방에 관한 문헌적 고찰. 동서의학. 1994;19(3):72-91.
  21. 차지철, 김한성. 불면의 병인병기 및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7;5(2):363-84.
  22. 임정화, 최보윤, 박지운, 이상룡. 불면에 대한 동서의학적 고찰. 혜화의학. 2003;12(1):41-51.
  23. 이응래, 이상룡. 수면장애에 대한 동서의학적 고찰. 혜화의학. 2009;9(1):192-219.
  24. 정송화, 김지훤, 이효경, 장현호, 김태헌, 류영수, 강형원. 불면증에 대한 동서의학의 약물치료 비교 분석.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3):65-88.
  25. 김진우, 안대종, 왕덕중, 이순이, 강형원. 불면증에 이침 시술을 한 환자 20예 임상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4;15(1):219-30.
  26. 성원영, 김락형. 불면에 대한 전침치료 동향 (1994-2009년 중국 임상 논문 중심으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4):91-101.
  27. 남지성, 정현숙, 이대현, 장인수, 김락형. 불면증에 대한 이침치료의 최근 동향 (2005-2009년 임상 논문 중심으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4):103-13.
  28. 장현호, 두인선, 이대용, 이승훈, 민상준, 김태헌, 유영수, 강형원. 불면증에 자하거 약침을 응용한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3;14(1):155-160.
  29. 이정아, 이상무, 안호진, 박상동, 박세진. 불면을 호소하는 중풍환자에 대한 체침과 이침 자침시 효과의 임상적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1;12(1):135-45.
  30. 홍현우, 이성도, 감철우, 박동일. 뇌혈관 장애환자의 불면증에 대한 산조인탕의 치료효과에 대한 임상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6):1927-32.
  31. 이중휘, 최승훈, 오민석, 김재식, 윤상원. 포도즙가산 조인탕의 스트레스 해소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3;12(1):129-37.
  32. 허용석. 분심기음가미방이 수면장애와 정서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경희대학교대학원. 2001.
  33. 석선희, 김주호, 김근우, 구병수. 신경정신과 약물을 복용해 온 우울증 환자의 불면증에 삼황사심탕을 병행 투여하여 호전된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6; 17(3):117-29.
  34. 김수연, 김은정, 이동원, 김경화. 양허 불면증 환자 치험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4;15(1):121-26.
  35. 김경욱, 김종우, 황의완, 김현택, 박순권, 이정륜. 분심기음가미방이 흰쥐의 수면장애와 불안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0;11(2):53-62.
  36. 박희수. 은백탐방보감. 서울:상생과상합. 2006:62.
  37. Machado RB, Hipolide DC, Benedito-Silva AA, Tufik S. Sleep deprivation induced by the modified multiple platform technique: quantification of sleep loss and recovery. Brain research. 2004;1004:45-51. https://doi.org/10.1016/j.brainres.2004.01.019
  38. 이승준, 이진용, 김덕곤. 소아안신탕이 스트레스를 유발한 흰쥐의 적출심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0;14(2):1-32.
  39. 박성남, 김덕곤. 감맥대조탕이 적출 흰쥐 심장의 혈역학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7;21(1):173-187.
  40. 최혁용. 도적산이 적출 흰쥐 심장의 혈역학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 경희대학교대학원. 1996.
  41. Madeleine GD. Normal sleep: Impact of age, circadian rhythms, and sleep, debt:Aaron E. Miler, Christina M. Marrra, editors. Continuum lifelong learning in neurology sleep disorders. Philadelphia. PA 19106. 2007;13:31-73.
  42. 정유삼. 수면 의학과 공중 위생.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2009;52(9):713-7. https://doi.org/10.3342/kjorl-hns.2009.52.9.713
  43. Kushida CA. Sleep Deprivation: Basic Science, Physiology, And Behavior. New York. Marcel Dekker. 2005:1.
  44. 巢元方. 巢氏諸病源候論. 서울:대성문화사. 1992:4, 74.
  45. 張子和. 儒門事親. 台北:旋風出版社. 1978:7:11.
  46. 李仲梓. 醫宗必讀.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7: 324-5.
  47. 정행규. 특강 동의보감. 서울:동의보감출판사. 2007: 241.
  48. 張介賓. 景岳全書. 서울:대성문화사. 1988:379-84.
  49. 陳師文. 太平惠民和劑局方. 台北.:旋風出版社. 1980:102, 112, 113.
  50. Sheldon SH. Introduction to pediatric sleep:Sheldon SH, Feber R, Kryger M H, editors. Principles and practice of pediatric sleep medicine 1st ed.. Philadelphia: Elsevier Saunders Co. 2005:1-12.
  51. Peigneux P, Laureys S, Fuchs S, Destrebecqz A, Collette F, Delbeuck. Learned material content and acquisition level modulate cerebral reactivation during posttraining rapid-eye-movements sleep. Neuroimage. 2003;20:123-34.
  52. 대한수면연구회. 수면혁명. 서울:대교베텔스만. 2006:106.
  53. 張仲景. 金匱要略精解. 대구:동양종합통신교육원출판부. 1987:59, 74, 95, 129, 140.
  54. 李梴. 醫學入門. 서울:대성문화사. 1990:217.
  55. 강병수. 임상배합본초. 서울:영림사. 1997:235.
  56.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수 공저. 방제학. 서울:영림사. 1999:329-30.
  57. 허준. 동의보감. 서울. 동의보감출판사. 2006:246.
  58. 조태순, 노재열, 홍사석. 산조인의 심장에 대한 약리작용. 대한약리학잡지. 1976;12(2):13-9.
  59. 안영수, 김경환, 조태순, 김원준, 홍사석. 산조인의 중추신경 및 심혈관계에 대한 약리작용. 대한약리학잡지. 1982;18(1):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