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역 단위 Horton 침투모형을 적용한 시간단위 초과우량 산출 절차 제시

An Offer of a Procedure Calculating Hourly Rainfall Excess by Use of Horton Infiltration Model in a Basin

  • 유주환 (영동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Yoo, Ju-Hwa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Youngdong Univ.)
  • 투고 : 2009.12.09
  • 심사 : 2010.04.21
  • 발행 : 2010.06.30

초록

강우-유출모형에 의해서 유역내 강우로부터 직접 유출량을 산출하는 것은 홍수량 예측에 기초가 된다. 직접 유출량은 강우-유출모형에 의해서 초과우량 또는 유효우량으로부터 산출된다. 시간별 초과우량은 시간별 총 강우에서 강우의 손실량을 제하여 산출한다. 이 손실량은 강우-유출모형 내 여러 손실 중에 비중이 큰 침투 손실량과 같도록 취급할 수 있다. 여기서 초과우량 또는 유효우량 산출을 위해서 실용적으로 간편한 $\Phi$지수법, W지수법 또는 이의 수정법이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 유역 내 강우 손실의 시간적 변화는 잘 알려진 Horton 침투 과정으로 간주하여 Horton 침투모형의 매개변수 값이 주어진 경우에 시간 단위별 침투손실 및 초과우량을 산출하는 절차와 적용 원칙을 제시하고 적용결과를 $\Phi$지수 방법의 적용결과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출한 강우사상에서 시간 단위의 Horton 침투량 값은 시간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쇠되는 Horton 모형의 침투 과정을 잘 보여 준다.

It is basic for a flood prediction to calculate direct runoff from rainfall in a basin by the rainfall-runoff model. The direct runoff is calculated from rainfall excess or effective rainfall based on a rainfall-runoff model. The total rainfall minus rainfall loss equals rainfall excess with time. This loss can be treated equal to an infiltration los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infiltration is a major one among the losses in the rainfall-runoff model. Practically obtaining the infiltration loss $\Phi$ index method, W index method or modified ones of these have been used.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e loss of rainfall in a basin be a well-known Horton infiltration mechanism. And in case that the parameter set is given in the Horton infiltration model a procedure and assumption for calculating hourly infiltration loss and rainfall excess are offered and the results of its application are compared with those of $\Phi$ index method. By this study it is well shown the value of Horton infiltration function is exponentially decay with time as the Horton infiltration mechanis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상인, 이순탁(1982). “중소하천유역에 있어서 유효강우량 및 설계수문곡선의 결정에 관한 연구-특히 SCS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15권, 제3호, pp. 49-55.
  2. 김재한, 이원환(1980). “폐선형계로 본 유역대표 단위유량도의 유도를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13권, 제2호, pp. 35-47.
  3. 김태균, 윤강훈(2007).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7호, pp. 523-532. https://doi.org/10.3741/JKWRA.2007.40.7.523
  4. 김태철, 박승기, 문종필(1997). “DAWAST 모형을 이용한 유출곡선번호 추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5호, pp. 423-430.
  5. 남선우, 최은호(1990). “산지유역의 초과우량 추정 모형.”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3권, 제3호, pp. 351-361.
  6. 박종영, 신창동, 이정식(2004).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간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9호, pp. 695-706. https://doi.org/10.3741/JKWRA.2004.37.9.695
  7. 박햇님, 조원철(2000). “선형저수지 요소를 가진 침투모형에 의한 유효강우의 산정.” 대한토목학회 2000년도학술발표회 논문집(III), 대한토목학회, pp. 537-540.
  8. 신사철, 권기량, 김성준(2002).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와 유효우량도의 작성.”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4호, pp. 411-423. https://doi.org/10.3741/JKWRA.2002.35.4.411
  9. 안태진, 류희정, 정광근, 심명필(2000). “단순 강우-유출사상으로부터 최적단위도와 침투율의 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365-374.
  10. 유주환(2006). “유역을 대표하는 Horton 침투 모형내 매개변수의 최적 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1호, pp. 977-984. https://doi.org/10.3741/JKWRA.2006.39.11.977
  11. 유철상, 김대하, 김현준(2007). “조선왕조실록 및 측우기기록에 나타난 주요호우사상의 평가: 1. 정성적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7호, pp. 533-543.
  12. 이명우, 최승안, 김형수, 심명필(2005). “CN값 산정을 위한 적정 선행강우일수의 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553-557.
  13. 이병주, 배덕효, 정창삼(2003). “위성영상 피복분류에 대한 CN값 산정(II): -적용 및 검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6호, pp. 999-1012. https://doi.org/10.3741/JKWRA.2003.36.6.999
  14. 정성원, 김승(1991). “Green-Ampt 방법에 의한 강우침투모형.” 한국수문학회 1991년도 수공학논총, 한국수문학회, 제33권, pp. 144-155.
  15. 조홍제(1986). “소유역의 홍수 도달시간과 사면길이의 분포특성을 고려한 홍수유출해석.”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19권, 제2호, pp. 139-148.
  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6). 시험유역의 운영 및 수문특성 조사.연구보고서. 1996년 설마천 시험유역.
  17. 홍석영, 정강호, 최철웅, 장민원, 김이현, 하상건(2007). “SCS-CN 산정을 위한 수치세부정밀토양도의 활용.”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06-115.
  18. Blake, G.J., Mallinson, G.D., and Lykles, P. (1968). "Infiltration in the Puketurua experimental basin." Journal of Hydrology (N.Z.), Vol. 7, No. 1, pp. 38-46.
  19. Chow, V.T. ED. (1964). Handbook of Applied Hydrology. New York, McGraw-Hill.
  20. Horton, R.E. (1939). “Analysis of runoff-plat experiment with varying infiltration capacity.”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20, pp. 693-711. https://doi.org/10.1029/TR020i004p00693
  21. Horton, R.E. (1940). “An approach toward a physical interpretation of infiltration capacity.”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Proceedings, Vol. 5, pp. 399-417.
  22. Rawls, W., Yates, P., and Asmussen, L. (1976). Calibration of selected infiltration equations for the Georgia Coastal Plain.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S-113, Washington, D.C.
  23. Singh, V.P. (1989). Hydrologic Systems, Watershed Modeling Vol. II,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