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역치수계획을 위한 대안수립: 영산강 유역의 사례연구

Alternatives Development for Basin-wide Flood Mitigation Planning: A Case Study of Yeongsan River Basin

  • 이충성 (인하대학교 수자원시스템연구소) ;
  • 심명필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이상원 (인하대학교 경제학부)
  • 투고 : 2009.11.24
  • 심사 : 2010.04.14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는 기존에 공학적 분석에 주로 치중하였던 대안수립 방법을 개선하여 경제적 측면에서 최적사업규모를 고려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치수사업을 투입과 산출에 의한 생산활동으로 정의하고 투입과 산출조합들을 최적화하는 방식의 대안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제시된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영산강유역 치수계획을 위한 대안들을 최적사업규모 결정을 통해 수립하였다. 최적사업규모 결정 결과, 최적대안의 순편익이 대안 내의 대규모 단위사업안들의 순편익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상대적으로 소규모의 단위사업안들은 그 효과가 과소평가되어 최적대안으로부터 제외될 소지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들로부터 보호받는 잠재적 피해지역들이 치수사업에서 소외될 수 있다. 따라서 피해지역별로 선택적인 홍수방어를 위해서는 단위사업안들을 홍수방어 범위에 따라 전역적 홍수방어대책과 지역적 홍수방어대책으로 분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lternative development method by means of determining the optimal project size from the economic viewpoint, improving the existing method depending on engineering aspects. To this end, this study defined the flood mitigation projects as the production activities carried out by inputs and outputs, and proposed the alternative development method on the basis of optimizing input and output combinations. This paper, as the case study of the proposed method, developed alternatives for the flood mitigation planning of Youngsan River Basin by determining the optimal project scale. As the result of determining optimal project size, the net benefit of the optimal alternative tended to be dependent on the net benefits of the large individual proposals. Due to such problem, the effect of relatively small individual proposals are underestimated and possibly be excluded from the optimal alternative, which may result in exclusion of the potential damaged regions protected by them from the flood mitigation project. Thus for the selective flood protection by region, individual proposals need to be categorized into the global measures and local measures according to the flood protection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2004). 치수사업 경제성분석 방법 연구.
  2. 건설교통부 (2007). 영산강유역종합치수계획.
  3. 국토해양부 (2008). 수자원사업의 타당성분석 개선방안 연구. 11-B500001-000094-01.
  4. 심명필 (2001a). “수자원 경제성분석 입문(9).”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5호, pp. 139-149.
  5. 심명필 (2001b). “수자원 경제성분석입문(10).”,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6호, pp. 75-83.
  6. 이충성 (2007). 유역치수계획 최적대안 결정을 위한 의사결정모형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pp. 122-184.
  7. 이충성, 최승안, 심명필, 김형수 (2005). “치수사업을 위한 다기준의사결정모형 개발: 2. 최선대안 선정 및 투자우선순위 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5B호, pp. 347-354.
  8. James, L.D., and Lee, R.R. (1971). Economics of water resuources planning. McGraw-Hill Inc., New York.
  9. Thuesen, G.J., and Fabrycky, W.J. (1993). Engineering Economy.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 New Jersey,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