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Specific Art Practices as Interven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Focused on Two "Dongducheon" Art Projects

지구화 시대 개입으로서의 예술실천과 장소의 문제 : 동두천 작업을 중심으로

  • Kim, Young-Ok (Korean Women's Institute, Ewha Womans University)
  • Received : 2010.04.28
  • Accepted : 2010.05.27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cultural pluralism on which more and more emphasis is put in the globalized cultural environment, takes local identity as a crucial index for the cultural exchange on the global level, but at the same time it results in transforming individual regions/places into a homogeneous space, as it forces the local identity itself to fit into the standardized global perspective. In this context I focus on two art projects that are related to 'Dongducheon', a town that houses the U. S. Second Infantry Division. These projects attract specific attention due to the fact that Dongducheon is a significant place with very 'thick' cultural identity: it reveals that modernization in Korea took place in intersection of nationalism, patriarchy and gender/sexuality postcolonial (military) culture. With these two Dongducheon related art projects (Donglyung Kim) and (Eunyoung Jeong) as excellent examples of site-specific art practice, this paper asks what it means to keep the historicity of disappearing local space/place in the global era. And how is it possible to 'represent' an extremely gendered/sexualized place like Dongducheon. This should be examined from a postcolonial feminist perspective. Since emancip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Dongducheon has been an island or an outside space in the nation-state Korea. This becomes more complicated, as now mostly women from the Philippines or former Soviet countries are working in the nightclubs in Doungducheon. and are feminist activist experiments to make the place with its residents to be seen and heard in proper a way of mourning,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shows the 'new' kijich'on women as those who are daring to be on an 'Odyssey' for a better life as they run everyday life in Dongducheon, working in clubs, doing laundry, bearing children, going to mass; tries to help them to be heard and felt, while it gathers sounds on the street or at mass and shows the doors or narrow alleys which lead to the their rooms. It aims to mourn the dead kijich'on women and to represent the precarious life of the present migrant kijich'on women, as it shows no faces.

오늘날 지구화된 문화 환경 속에서 점점 강조되는 문화 다원주의는 지역 정체성을 중요한 문화교류의 지표로 삼는가 하면, 지역 정체성 자체를 표준화된 국제적 관점에 끼워 맞추라고 강요함으로써 모든 지역을 동질적인 공간으로 변형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 속에서 포스트식민 분단 한국의 정치경제, 사회문화가 가장 특징적으로 새겨져 있는 '동두천'과 관련된 두 개의 아트 프로젝트, <아메리칸 앨리>(김동령)와 (정은영)를 분석한다. 이 프로젝트들은 '지역 특수성에 기반을 둔 예술실천'으로서 지구화 시대 사라지는 지역의 역사성을 지켜낸다는 것은 무엇인지, 역사적 기억으로서의 예술실천은 어떤 모습으로 가능한지, 무엇보다 특정 장소가 극단적인 젠더 이데올로기에 침윤되어 있을 때 이 장소를 여성주의적으로 재현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지 등을 성찰한다. 동두천은 해방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이라는 국민국가 내부의 어떤 섬, 혹은 '외부'로서 존재해왔으며, 이것은 현재 동두천 클럽에서 일하는 여성들이 대부분 구 러시아 지역과 필리핀 등지에서 온 이주여성들이라는 점에서 더욱 다중적이고 지구적인 성격을 띤다. 포스트식민/여성주의적 관점을 견지하는 <아메리칸 앨리>와 는 지나치게 '두터운' 정체성을 가진 동두천이라는 지역/장소와 그 정체성의 한가운데에 있는 클럽여성들을 이제까지의 이데올로기적 재현을 거슬러 인정과 소통이 가능한 방식으로 '가시화'시키고자 시도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5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05-005-J12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