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사용예측행정을 위한 실시간 생활용수 추세패턴 모형개발 및 GIS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rend Analysis Models for Residential Water consumption using realtime sensing data and on the Grafting of a GIS for Water Supply Administrative Purposes

  • 김성훈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학과) ;
  • 이시형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 ;
  • 김동문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김의명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박재국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투고 : 2010.11.08
  • 심사 : 2010.12.10
  • 발행 : 2010.12.30

초록

본 논문은 용수공급 2축의 한방향인 공급관리의 효율화를 개선하는 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그 총체적 접근의 일환으로 생활용수 중 상업용수를 대상으로 공간분석 대상지 선정, 센서 설치위치 선정, 센서 및 서버시스템의 설치,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등의 일련의 과정을 시도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수집된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요일별, 월별 용수사용 추세패턴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추세패턴 모형과 GIS시스템의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모형의 신뢰도 향상과 더불어 상기 제시된 접근 및 결과는 물사용 예측행정 및 관리를 위한 주요한 도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to improve water supply management efficiency which is one of the two main approaches to solve the water supply-related problems. As an effort, targeting commercial water, a series of efforts was performed such as choosing a field area, selecting a sensing point, installing a sensor and server systems, and monitoring the real time data. Through the analyses of the real time data gathered, a series of water consumption trend analysis models were developed for each day and for each month. And Also proposed are the related utilization of the developed trend analysis models and a GIS. As a result of the aforementioned research, the proposed trend analysis technique is expected to offer some important role for the water supply forecasting agministation and manag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성한, 양승경, 김동홍, 유형민, 2009, 유수율 제고를 위한 관망해석 및 진단 GIS 및 EPANET 활용, 홍릉과학출판사, pp.155-156.
  2. 김영상, 2007, "실측자료를 이용한 가정용수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3. 김화수, 이두진, 김주환, 정관수, 2008,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 원단위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5호, pp.595-601.
  4. 민동기, 2000, "생활용수 수요 분석", 자원.환경경계연구,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제9권 2호, pp.311-332.
  5. 유명진, 구자용, 구윤희, 김신걸, 2004, "선형 및 비선형 모델을 이용한 시간별 물수요량의 예측", 대한환경공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제26권 3호, pp.277-283.
  6. 이혜경, 2008, "구글맵API 매쉬업을 이용한 지도교육 콘텐츠연구 - 초등학생3,4학년 사회과 주제지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7. 하동명, 2004, "가연성물질의 자연발화온도 측정 및 예측 - 메탄올과 에탄올 -", 한국안전학회지, 한국안전학회, 제19권 2호, pp.54-60.
  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7, "수자원계획의 최적화연구, I:용수수요추정시스템개발연구", pp.5-6.
  9. 한태환, 남의석, 2001, "칼만필터의 적응형모델 기법을 이용한 광역상수도 시스템의 수요예측 모델 개발",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한국조명설비학회, 제15권 2호, pp.38-48.
  10. 환경부 상하수도정책관실 수도정책과, 2009, "상수도통계".
  11. Edwards, J., Koval, E., Lendt B. and Ginther, P., 2009, GIS and hydraulic model integration : Implementing cost-effective sustainable modeling solutions, Journal AWWA, VOL. 101 No.11, pp. 34-42.
  12. Torr, P., Zisserman, A., 1997, Robust Parameterization and Computation of the Trifocal Tensor, Image and Vision Computing, 15, pp.591-605. https://doi.org/10.1016/S0262-8856(97)00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