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사태 지역정보 서비스를 위한 3차원 데이터 모델 분석 및 Application 개발

Analysis of the 3D Data Model and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for Landslide Region Information Service

  • 김동문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박재국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양인태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최승필 (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10.05.25
  • 심사 : 2010.06.28
  • 발행 : 2010.09.30

초록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적인 돌발 및 집중강우패턴으로 인해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사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최신의 3차원 측량장비인 LiDAR 등으로 취득한 고정밀 고밀도의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산사태지역에서의 변위탐지와 모니터링을 위한 지면변위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대용량의 LiDAR 데이터를 처리하는 상업용 소프트웨어는 고가이며, 산사태 분석과 같은 특화된 업무에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다. 또한 산사태와 관련된 다양한 공간정보를 다수의 이용자가 쉽게 접근하여 직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LiDAR 데이터를 처리하여 산사태를 분석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에서의 지형 및 산사태 관련정보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를 통해 연구지역에 대한 산사태 현황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3차원 기반의 산사태 및 지형정보를 직관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Korea has witnessed an increas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due to localized sudden and intensive rainfalls. Thus there have been researches on surface displacements to detect and monitor displacements in the areas prone to landslides by using high-precision and density numerical elevation data from LiDAR, which is an advanced 3D measuring equipment. However, the commercial software to process large-capacity LiDAR data, is expensive and difficult to be applied to specialized tasks such as analysis of landslide. In addition, there are no measures for many users to easily access diverse spatial information related to landslides and put it to intuitive uses. Thus this study developed an application program to analyze landslides by processing time series LiDAR data and intuitively serve many users with information about the topography and landslides of given areas. It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landslides in the subject region through case study and proposed that 3D-based landslide and topography information can be served intui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문(2009), 산림지역 항공 LiDAR 데이터 처리를 위한 필터링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2009년 4월.
  2. 김동문(2008), 유역경계 추출을 위한 DEM별 전처리 방법과 격자크기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26권 제1호, pp.41-50.
  3. 김동문, 김의명(2009), 지오브라우저를 이용한 지적정보의 서비스 방안, 한국지적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57-172.
  4. 김성학, 최승필, 양인태(2008), 지상 LiDAR 자료를 이용한 모형사면의 모니터링,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6권 제4호, pp.17-23.
  5. 박재국, 이상윤, 양인태, 김동문(2010), 지상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자연사면의 변위 모니터링,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0권 제2D호, pp.191-198.
  6. 시종익, 권형진, 하수욱(2003), 3차원 GIS 동향 분석, 한국전산원, 연구보고서.
  7. Aleotti, P and Chowdhury, R. (1999) Landslide hazard assessment: summary review and new perspectives. Bull. Eng. Geol. Env. 58, pp.21-44. https://doi.org/10.1007/s100640050066
  8. Brand, E.W. (1988) Landslide Risk Assessment in Hong Kong. Proc. Fifth Int. Symp.on landslides, Vol. 2, pp.1059-1074.
  9. DongMoon Kim, JaeKook Park, InTae Yang(2010), Application Development for Processing and Service of LiDAR Data, The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and Urban Planning(GISUP2010, International), pp.18-22.
  10. JaeKook Park, DongMoon Kim, InTae Yang(2010), A Study on the Use of Open API Map Service and Flex Technology for Hazard Map Service, The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and Urban Planning(GISUP2010, International), pp.2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