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외식조리 관련학과 학생들의 학습동기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 지역 전문대 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of Students in Hotel and Food Service Related Departments - Focused on College Students in the Daegu.Gyeongbuk Areas -

  • 김기진 (영남대학교 외식산업학) ;
  • 김향희 (대구산업정보대학 호텔조리계열) ;
  • 정외숙 (대구산업정보대학 호텔조리계열)
  • Kim, Gi-Jin (Food Service Industry, Yeungnan University) ;
  • Kim, Hyang-Hee (Faculty of Hotel Culinary Arts, Daegu Polytechnic Collage) ;
  • Chung, Eio-Sook (Faculty of Hotel Culinary Arts, Daegu Polytechnic Collage)
  • 투고 : 2010.01.07
  • 심사 : 2010.06.15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 호텔 외식조리 관련학과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대구지역의 3개 전문대 호텔 외식조리 관련학과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26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학습동기에 대해 설펴보면, '졸업 후 취업'이라는 동기가 강한 학생은 20~24세로 나타났고, '학습의 기쁨'에 대한 동기는 연령이 높을수록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졸업 후 취업', '대학생활의 즐거움'의 동기가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자격증을 더 많이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은 대체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고, 학년과 연령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으며, 현장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인지전략', '메타인지 전략', '성취가치'의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취득한 자격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상관관계는 학습동기 중 '무동기'를 제외하고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무동기'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모든 요인과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is research examines difference i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in hotel and food service related departments at vocational colleges, and subsequently identifies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ttributes. The research conducted a survey for 300 students in hotel and food service related departments at three vocational colleges in Daegu region, and 267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terms of learning motivation, students in the age between 20 and 24 indicated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s the strongest motivation while relatively older students indicated 'joy of learning' as their motivation. It turned out that students who showed strong motivation in terms of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nd 'fun of college life' acquired more professional certificates. Next, regarding self-regulated learning,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ability than male students. Students in higher grade, with older age, and with field practice experience showed more strength in self-regulated learning.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a cognitive strategy, meta cognition and achievement value acquired more professional certificate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n exception of 'amotivation' among learning motivations. 'Amotivation' demonstrat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