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투어리즘과 여행객의 음식 관련 성향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Food Tourism and Tourists' Characteristic Concepts; Food Neophobia, Variety-seeking Tendency, Hedonic Consumption, and Identity Affirmation

  • 김지은 (대구가톨릭대학교 호텔경영학과) ;
  • 권용주 (경희대학교 호텔경영학과)
  • Kim, Ji-Eun (Dept. of Hotel Management,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Kwon, Yong-Joo (Dept. of Hotel Management, KyungHee University)
  • 투고 : 2009.11.28
  • 심사 : 2010.06.09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푸드 투어리즘의 개념을 설명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음식에 관련된 관광객들의 성향적 측면을 파악하여 이러한 성향과 푸드 투어리즘과의 관계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자 시행하게 되었다. 기존 문헌에 근거하여, 푸드 투어리즘을 구성하는 세 가지 측면이 도출되었다. 첫째는 방문 지역의 토속 음식을 메뉴로 하는 레스토랑을 선호하는 것이며, 둘째는 토속음식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며, 마지막은 여행 지역에서 양질의 레스토랑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음식에 관한 여행자의 성향으로 새로운 음식에 대한 두려움,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성향, 향락적 소비성향, 자아확신성 등의 변수가 도출되었다. 강화도, 남이섬, 영종도의 200명 여행객 설문지 중 164명의 성실한 답변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아울러 여행자의 성향과 푸드 투어리즘과 관계가 있는지를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써, 음식에 대한 두려움은 푸드 투어리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성향, 향락적 소비성향, 자아확신성을 푸드 투어리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푸드 투어리즘 마켓의 발전을 위해서 여행자들에게 질적인 지역 토속 음식 문화를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활동, 레스토랑, 축제 등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며 지역 특유의 음식과 관광을 함께 이미지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empirical objectives of this study include, firstly, to identify the underlying dimensions in food tourism, secondly, to identify and test the tourists' characteristic variables that explain participation in food tourism, and finall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tourism and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Derived from existing food tourism literature, three underlying dimensions of activities in food tourism are given; (1) dining at restaurants serving local cuisine, (2) purchasing local food products, and (3) dining at high quality restaurants. Four valid conceptual variables were used to test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m and food tourism variables. They are food neophobia, variety-seeking, hedonic consumption, and identity affirmation. Based on the survey responses from 164 tourists visiting Kanghwa-do, Namisum, and Yongjong-do,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were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food neophobia and all other dimensions in food tourism. In addition, variety seeking, identity affirmation, and hedonism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dimensions of food tourism. Therefore, utilizing various culinary cultures, food tourism activities with increasing the availability and branding of indigenous local dishes are strongly advised to the destinations concentrating in the food tourism marke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