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ign Immigrants‘ Recognition on Macro-contexts of Transnational Migration

외국인 이주자의 거시적 이주 배경에 관한 인지

  • Received : 2009.12.01
  • Accepted : 2010.03.20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Rapidly increasing transnational migration can be seen as a typical process which has proceeded under macro-contexts of socio-spatial characters of origin and destination country and their relationships, shaped with global uneven regional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glocalization and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on the global level. In order to consider macro-context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is paper emphasizes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space and some key elements implied in it, that is, place, territory, network, scale (suggested by Jessop et al.) and spatial flow and difference. As results of questionnaire analysis of foreign immigrants' recognition of macro-contexts, this paper suggests some findings: that is, a high level of recognition of all types of foreign immigrants on global changes, the most negative recognition of migrant workers among 4 types of foreign immigrants on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their origin country, a positive recognition of people in all regions of their origin (except few countries such as Japan) on international migration, and a low level of their recognition in all types on S. Korea's characters as their destination country.

최근 급증하고 있는 초국적 이주는 세계적 차원의 지구-지방화 과정 및 교통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지역불균등 발전에 따른 출신 국가 및 지역과 목적 국가 및 지역의 사회공간적 특성과 이들 간 관계 등의 거시적 배경 하에서 이루어진다. 이를 고찰하기 위해, 다문화공간의 개념과 이에 함의된 장소, 영역, 네트워크, 스케일과 이에 더하여 공간적 흐름과 공간적 차이 등이 강조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들에 바탕을 두고 외국인 이주자들이 인지하는 거시적 배경에 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첫째 대부분의 외국인 이주자들은 국가 간 경제발전 수준의 차이, 교통 및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상품과 자본의 지구적 이동, 그리고 국제이주의 일반화 경향 등을 상당히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4가지 이주 유형들 가운데 이주노동자가 본국의 경제적, 사회적 여건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장 부정적으로 인지하는 반면, 전문직 이주자들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자와 이주노동자는 농어촌 거주비율이 높은 반면, 전문직 이주자와 외국인 유학생들은 대도시 및 중도시 거주비율이 높지만, 모든 유형의 이주자들의 출신 지역들(단 일본과 같은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에서는 국제 이주를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모든 유형의 이주자들은 이주 전 이주 목적국으로서 한국에 대해 대체로 낮은 인지수준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