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act of Life Habits on Eyesight among College Students (centering on students studying Dental Technology)

대학생들의 생활습관이 시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치기공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

  • Choi, Un-Ja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 Jun, Jeong-J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최운재 (원광보건대학 치기공과) ;
  • 전정자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Received : 2010.11.10
  • Accepted : 2010.11.30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yesight and life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protection of their eyesight.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11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t a college of health,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A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show the joint distribu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everal variables involving the use of glasses or contact lenses and life habits. Results: 77.5% of the students currently wore glasses due to weak sight. 9.3% took an eye test on a regular basis, and 31.2% did that every six months. As for the length of the length of daily mean reading time, 55.3% spent one hour or less reading books. The most common distance between eyes and books during their reading(44.7%) was 21 to 25. Concerning a reading posture, the biggest group(54.3%) lay down or lay on their face while they read books. 45.0 % spent less than an hour watching TV per day on average, and 27.0% were on the computer for 30 minutes to less than an hour per day on average. The greatest group(63.0%) made use of basic indoor lighting when they were on the computer at night, and 62.1% saw eye doctors to take an eye test. In relation to how to protect eyesight, the biggest group(50.5%) spent less time being on the computer. Conclusion: As the eyesight of college students fails due to reading, TV, computer, and improper ways and posture of doing or using those things, every college definitely should provide education on eye health as on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Keywords

References

  1. 강향녀, 김성태. 작업환경에서 오는 시력분포 및 고찰. 한국안광학회지, 5(2), 99-105, 2000.
  2. 김대년, 김혜동. 대구지역 초등학생 굴절이상 안에 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6(1), 49-53, 2001.
  3. 김덕훈, 최오목. 시기해부학. 정문각, 65, 1995.
  4. 김덕훈, 유재태. 여대생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에 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5(1), 187-192, 2000.
  5. 김보경, 정문숙, 한창현.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수정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1), 59-85, 2002.
  6. 김재찬, 구본술. 도시학동의 시력장애와 근시의 실태 및 원인에 관한연구. (환경요인에 의한 발상원인의 관찰) 대한안과학회지, 29(1), 1988.
  7. 김정희. 초등학생들의 시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안광학회지, 5(2), 79-85, 2000.
  8. 김창식, 이학준. 연령별 시력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5(2), 55-58, 2000.
  9. 김창식, 이학준. 정상 대학생의 눈 굴절이상, 안 장축, 전방깊이, 수정체 두께 그리고 각막두께의 연관성. 한국안광학회지, 13(1), 89-94, 2008.
  10. 김태훈, 민영록, 성아영. 대학생들의 콘택트렌즈 착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안광학회지, 10(2), 151-157, 2005.
  11. 김혜동. 한국 청년들의 안경착용 실태에 관한 조사. 한국안광학회지, 12(4), 1-4, 2007.
  12. 김혜동.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의식조사. 한국안광학회지, 13(3), 13-17, 2008.
  13. 노광국, 이진학, 윤동호. 연령이 정상 시력안의 굴절상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지, 31(10), 1335-1339, 1990.
  14. 류경호, 이학준. 대전광역시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과별 굴절이상에 관한연구, 한국안광학회지, 10(3), 229-234. 2005.
  15. 마기중, 이학준, 이종훈, 이혜정. 안경사의 인력 수급 전망. 대한시과학회지, 3(1), 2001
  16. 윤찬승. 남녀 고등학생들의 시력 관심도에 대한 비교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26, 2002.
  17. 이군자, 임현성, 장태원. 경기지역 대학생의 정면 얼굴형태 분석. 대한시과학회지, 2(1), 95-104, 2000.
  18. 이군자, 안동춘, 이관형. 경기지역 대학생의 측면 얼굴형태에 관한 계측적 연구. 대한시과학회지, 2(1), 105-113, 2000.
  19. 이명하, 마기중, 원찬희. 야구선수와 일반 대학생의 동체 시력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시과학회지, 2(1), 1-6, 2000.
  20. 이병숙, 김미영, 김미현, 김선경. 우리나라 일부 대학생의 건강신념 및 건강행위 실천도. 대한간호학회지, 30(1) 213-224, 2000.
  21. 이영일, 홍석진. 20대 서양인의 굴절 이상에 대한 연구: 북미지역. 한국안광학회지, 14(1), 97-101, 2009.
  22. 이옥진, 김혜금. 대학생의 안보교육 요구도. 한국안광학회지, 12(3), 49-53, 2007.
  23. 이원재, 반덕진. 일부 대학생들의 건강관련행위.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6(2), 157-171, 1999.
  24. 임상진. 눈으로 말해요. 한솔출판사. 1999
  25. 조영래, 박현주, 서지근, 성정섭, 김재민. 대학생들의 시기능에 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10(2), 103-110, 2005.
  26. 최혜정, 진가헌, 차정원. 경기북부지역 고등학생의 안굴절 상태 조사연구, 5(1), 131-138, 2000.
  27. 황정희, 박준철. 대전지역 시설아동의 안보건 실태조사. 대한안광학회지, 5(2), 73-78, 2000.
  28. Goldschmidt E. On the etiology of myopia: An epidemiologic study. Acta Ophth Suppl, 46, 98, 1968.
  29. Katz J, Tielsch JM, Sommer A. Invest. Ophthalmol. Vis Sci 38, 334, 1997.
  30. LinL L, Fshin Y, Tasi CB, Lee CJ, Hung PT. Hou PK. Optom. Vis Sci 76, May, 1999.
  31. Richlerand JC. Bear A. Ophthal. 58, 468, 1980.
  32. Sonsdy A, Leary GA, Fraser GR Family studies on ocular refraction & Its components. J Med Gent, 3, 269-273, 1966. https://doi.org/10.1136/jmg.3.4.269
  33. Sako H. Studies of schools myopia. Ganko Rincho lho, 62, 123-133, 1973.
  34. Wang Q, Klein BE, Klein R, Moss SE. Ophthalmol. Vis Sci, 35, 4344, 1994.
  35. Yong FA. Leary GA. Baldwin WR. West DC. Box RA. Harris E. Johnson C. Optom Arch. Am Acad Optom, 46, 676, 1969. https://doi.org/10.1097/00006324-196909000-00005
  36. Zadnik. Optom. Vis sci, 74, 603, 1997. https://doi.org/10.1097/00006324-199708000-00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