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Activity-oriented AIDS Prevention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Middle School Boys

활동중심 에이즈예방교육이 남자중학생의 에이즈에 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0.10.04
  • Accepted : 2010.12.11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AIDS between an activity-oriented and a lecture-oriented AIDS preven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 boys. Methods: Each of 60 middle school boys in M city, Gyeongsangnam-do,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activity-oriented AIDS prevention educatio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 lecture-oriented education in control group were provided for a 45 minutes class per week for 4 weeks, respectively. Date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rough $x^2$-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homogeneous in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AIDS prevention before the study. In AIDS prevention knowledge,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of times by groups (F=0.033, p=.930); but the main effect of times was significant (F=63.950, p<.001). In attitudes toward AID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of times by groups (F=8.892, p<.001). Conclusion: The activity-oriented AIDS prevention education was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to foster positive attitudes toward AIDS prevention in middle school boys. Therefore, systematic and sustained development of AIDS prevention education reflecting learners' characteristics is required.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옥. 중학생의 에이즈관련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에이즈교육방법별 비교.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006;9(1):21-34.
  2.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원미사,2007.
  3. 곽소영. 한국 에이즈 퇴치운동과 게이 섹슈얼리티 : 무료 콘돔 배포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4. 교육인적자원부. 학교 성교육 활성화 지도지침. 서울: 여성교육 정책담당관실, 2005.
  5. 권관우, 이경무, 김훈수, 김정순, 정경균. 성과 에이즈에 관한 보건교육 방법별 효과 측정.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0;17(2):111-124.
  6. 권관우, 이경무, 변진옥. 에이즈와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차별에 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2002;12:199-218.
  7. 김병혁 외 12명. 서울시 고등학생의 성지식, 에이즈 지식 정도 및 성교육에 따른 에이즈 인식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의과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2009.
  8. 김성아. 일부 고등학생들의 에이즈교육을 통한 지식과 태도 변화. 대한보건교육학회지 2000;14(2):216-228.
  9. 김수경. 일부 중학생들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 및 태도[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10. 대한에이즈예방협회. 2008년 말 신규 에이즈 감염 현황. 서울: 대한에이즈예방협회. http://www.aids.or.kr/front/library/library_infectee_info.asp. 2009.
  11. 대한적십자사. 청소년 또래 성교육. 서울: 대한적십자사, 2008.
  12. 박효정, 안봉순, 이정옥, 이혜자. 건강한 성 행복한 삶. 서울: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8
  13. 배선미. 에이즈보건교육이 초등학생의 에이즈에 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대학원, 2002.
  14. 변진옥. 한국 남성 HIV감염자의 경험: 현상학적 접근[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15. 세계보건기구. 에이즈통계 현황. http://www.who.int/topics/hiv_aids/en. 2009.
  16. 손애리, 권동석, 최찬호. 에이즈 예방 청소년 동료지도자 프로그램 평가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3;20(3):281-299.
  17. 우옥영 외 7명. 생활속의 보건. 서울: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9.
  18. 우해자, 김정남, 박경민. 성교육이 중학생의 컴퓨터와 비디오 접촉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1;12(3):795-813.
  19. 윤현숙. 에이즈교육이 여고생들의 에이즈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20. 이지용. 남자고등학생들의 HIV/AIDS에 대한 지식과 태도 조사[석사학위논문]. 논산: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9.
  21. 임혜정. 에이즈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방법 중 강의식과 동료교육의 효과 비교[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5.
  22. 질병관리본부.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 및 행태조사. 서울: 질병관리본부, 2008.
  23. 질병관리본부. 2008년 국내감염자 현황. 서울: 질병관리본부,2009.
  24. 한국에이즈정보센터. http://www.aidsinfo.or.kr/Board/Html/Main.html.2009.
  25. 한국에이즈퇴치연맹. 전 국민의식조사 보도자료-국민들 감염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 여전히 심각!. 서울: 한국에이즈퇴치연맹, 2002.
  26. 황인선. 에이즈보건교육을 통한 청소년의 에이즈지식과 태도 변화[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27. Adjuwon AJ, Olaleye A, Farmoju B, Ladipo O. Sexual behavior and experience of sexual coercion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ree states in north eastern Nigeria. BMC Public Health 2006;6(1):310. https://doi.org/10.1186/1471-2458-6-310
  28. Ayranci U. HIV/AIDS knowledge and attitudes in a Turkish population: an epidemiological study. BMC Public Health 2005;5(9):95-101.
  29. Hingson RW, Strunin L, Berlin BM, Heeren T. Beliefs about AIDS. Use of alcohol and drugs and unprotected sex among Massachusetts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0;80(3):295-299. https://doi.org/10.2105/AJPH.80.3.295
  30. Joffe H. Social representations and health psychology. Social Science Information 2002;41(4):559-580. https://doi.org/10.1177/0539018402041004004
  31. Kennedy MG, Mizuno Y, Hoffman R, Baume C, Strand J. The impact of tailoring a model HIV prevention program for local adolescent target audiences. AIDS Education and Prevention 2000;12(3):225-238.
  32. Stoff DM. Mental health research in HIV/AIDS and aging: problems and prospects. AIDS 2004;18(1):3-10. https://doi.org/10.1097/00002030-200401001-00002
  33. Rosy C, Ghosh SN, Sunil KS. Need assessment of an alcohol and HIV prevention for youth in North Western Himalayas. Journal of the Indian Academy of Applied Psychology 2007;33(1):5-14.
  34. UNAIDS. 2007 Report on the global AIDS epidemic. http://www. unaids.org/en# National. 2008.
  35. UNICEF. Young people and HIV/AIDS: opportunity in crisis. http://www.unicef.org/ newsline/IV_10REV67.pdf# National.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