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Food Waste Generation of Residents and Food Waste Resources in Multifamily Housing

음식물쓰레기 자원화를 위한 공동주택 거주자의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및 자원화 의향에 관한 분석

  • Oh, Jeong-Ik (Green Growth Research Team, Land & Housing Institute,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
  • Lee, Hyun-Jeong (Department of Housing & Interior Design,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for Human Life, Kyung Hee University) ;
  • Seok, Hee-Jean (Department of Housing & Interior Design,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for Human Life, Kyung Hee University)
  • 오정익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녹색성장연구실) ;
  • 이현정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및 생활과학연구소) ;
  • 석희진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및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0.08.16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With rising food waste, the management activities have gained growing attention, and the disposal options, particularly utilization of food waste for energy recovery, become central. This research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food waste generation and the tendency to resource food waste.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newly built multifamily housing estates to collect data, and 300 response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purchased food materials in largely franchised grocery stores and discarded food that had been too long refrigerated to edible. The lifecycle of food consumption was divided into three states - food purchase plan, cooking and food waste colle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ree stages and food waste generation or tendency to resource food waste. The results described that food waste generation being affected by the stage of food purchase plan (food waste removal conditio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it'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stage of cooking (prepurchase considerations) influenced the attitude toward food waste resource.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food is overconsumed, and further many viewed food waste resources as a proactive and integrative mode in the global wave of sustainability.

음식물쓰레기의 발생량과 자원화 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최근 건설된 공동주택 단지에 거주하는 주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dow version 18.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추리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공동주택 단지의 주부들은 일반적으로 대형마트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구매하고 있었으며,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는 주된 이유는 장기보관으로 인한 손상 및 부패였다. 계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종류가 달랐으며, 이는 식생활과 밀접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발생단계를 식재료 구매, 음식 소비 및 조리, 음식물쓰레기 배출 등 3가지로 나뉘어 음식물쓰레기 발생량과 자원화 의향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음식물쓰레기의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음식물쓰레기 수거단계 특성이었으며,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식재료 구매단계 특성이었다. 즉,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단지 내 음식물쓰레기 수거환경이 양호할수록 증가하였고, 음식물쓰레기 자원화는 사전구매계획이 미비할수록 쓰레기 발생을 높았다. 따라서, 쓰레기 종량제 실시에도 불구하고 식생활 문화와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음식의 과소비는 여전하므로, 발생된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 기술 개발과 제도적 지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수,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정책방향, 유기물자원화, 11(4), 9-13(2003).
  2. 심익섭, 생활폐기물 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조선대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08).
  3. 심재곤, 폐기물관리 정책방향과 음식물쓰레기 감량 및 자원화 정책, 유기성자원학회 1999년도 임시총회 및 가을학술대회, pp. 1-15(1999).
  4. 유수현,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처리 기술에 대한 정책 방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2007).
  5. 환경부, 환경백서(2008).
  6. 안상선, 음식물류폐기물의 자원화정책 변화에 따른 개선 효과, 유기물자원화, 13(2), 65-73(2005).
  7. 중앙일보 2010년 2월 19일자.
  8. 환경부,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발생폐수 육상처리 및 에너지화 종합대책(2007).
  9. Barr, S., Gilg, A. and Ford, N., "Defining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household waste management: A study of reported behavior in Devon.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45, 171-192(2005).
  10. Joos, W., Carabias, V., Winistoerfer, H. and Stuecheli, A., "Social aspects of public waste management in Switerland," Waste Management, 19, 417-425(1999). https://doi.org/10.1016/S0963-9969(99)00087-3
  11. Lundie, S. and Peters, G. M., "Life cycle assessment of food waste management options," J. Cleaner Production, 13, 275-286(2005). https://doi.org/10.1016/j.jclepro.2004.02.020
  12. 이진영, "소비생활과 재활용(II):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197-220(1998).
  13. 채희경,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 및 발생량 최소화에 관한 연구, 청운대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7).
  14. 환경부, 농림부, 보건복지부,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기본계획(1998).
  15. 박종웅, 김민철, 송주형, 임점호, "음식물쓰레기의 발생원 및 계절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18(7), 595-603(2001).
  16. 채희경, 채병숙, 조춘봉, "음식물쓰레기 자원화를 위한 적정처리 방법과 발생량 최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단계별 관리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11(2), 103-122(2008).
  17. Zhuang, Y., Wu, S., Wang, Y., Wu, W. and Chen, Y., "Source separation of household waste: A case study in China," Waste Management, 28, 2022-2030(2008). https://doi.org/10.1016/j.wasman.2007.08.012
  18. 박진서, 차동원, 서승직, 우리나라의 음식물쓰레기처리 방법의 개관, 대한설비공학회 2009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427-432(2009).
  19.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 단지의 음식물쓰레기 무배출 시스템 적용연구(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