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Korean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Index Based on a Damage Oriented Modeling

한국형 피해산정형 전과정 영향평가 지표 개발

  • Park, Pil-Ju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
  • Kim, Mann-Young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 Received : 2010.01.19
  • Accepted : 2010.05.26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a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index that can indicate the environment-related information of the product in monetary value such that the national geograph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features are fully reflected based on a damage-oriented model. First, the estimation process was classified into characterization, damage assessment, and integration stages considering the six biggest impact categories: resource depletion, global warming, ozone depletion, acidification, eutrophication, and photochemical oxidant creation. Moreover, this study came up with the 16 category endpoints related to the 6 impact categories, and the damage function, to the 4 largest safeguard subjects. The integration indices of finally identified impact categories were KRW 21.8/kg Sb, KRW 6.19/kg$CO_2$, KRW 53,000/kg CFC-11, KRW 13,100/kg $SO_2$, KRW 2,310/kg ${PO_4}^{3-}$, and KRW 3,030/kg $C_2H_4$. Us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nvironmental impacts based on the environmental load generated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of a product can serve as a single index in monetary value; thus enhancing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results of life cycle impact assessments.

이 연구에서는 피해산정형 모델에 기초하여 제품 환경성 관련 정보를 국내 지리적, 환경적, 사회적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화폐가치'로 나타낼 수 있는 전과정 영향평가 지표를 제시하였다. 먼저 평가단계를 '특성화', '피해평가', 통합화의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자원소비, 지구온난화, 오존층영향, 산성화, 부영양화 및 광화학산화물 생성의 6대 영향범주를 고려하였다. 아울러 6대 영향범주와 관련된 16개 범주별 종말점과 4대 보호대상에 대한 피해함수 및 피해계수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영향범주별 기준물질의 통합화 지수는 21.8원/kg Sb, 6.19원/kg $CO_2$, 53,000원/kg CFC-11, 13,100원/kg $SO_2$, 2,310원/kg ${PO_4}^{3-}$, 3,030원/kg $C_2H_4$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제품 전과정에 걸쳐 발생하는 환경부하가 보호대상에 미치는 영향을 화폐가치로 단일 지수화할 수 있으므로 도출되는 전과정 영향평가 결과의 이해도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Goedkoop, M. and Spriensma, R., The Eco-indicator 99-A damaged oriented method for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Pre consultants, Amerfoort(1999).
  2. 伊坪 德宏, 稻葉 敦,ライフサイクル環境影響評價手法: LIME-LCA, 環境針計, 環境效率のための評價手法.デ一タベ一ス, 産業環境管理協會(2005).
  3. Steen, B, A systematic approach to environmental priority strategies in product development(EPS). Version 2000-Models and data of the default method, CPM report 1999:5,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Environmental Systems Analysis, Gothenburg(1999).
  4. Lee, K., "A Weighting Method for the Korean Eco-indicator", International Journal of Life Cycle Assessment, 4(3), 161-165(1999). https://doi.org/10.1007/BF02979451
  5. 고지연, 인간건강의 손상분석을 위한 DALY의 산출, 석사논문, 건국대학교(2005).
  6. 김경환, 김익, 고지연, 김만영, 허탁, "전과정위해성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6(1), 57-64(2005).
  7. 정인태, 이건모, 송종성, "제품의 온실가스 배출저감에 대한 성과지표 개발 - 컨조인트 분석(conjoint analysis)을 이용한 지구온난화 영향의 사회적 비용 추정", 대한환경공학회지, 30(12), 1245-1254(2008).
  8. ISO 14044:2006, Environmental manage-Life cycle assessment-Requirements and guidelines(2006).
  9. 조용개, "생태중심주의 환경윤리의 철학적 함의와 교육적 대안", 환경철학, 5, 33-60(2006).
  10. Murray, C.J.L., "Quantifying the Burden of Disease, the Technical Basis for Disability Adjusted Life Years", Bulle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72(3), 429-445(1994).
  11. 국가생태계정보 네트워크, 생물다양성의 정의와 분류(2009) http://ecosystem.nier.go.kr/
  12. 친환경상품진흥원, 전과정평가 기법을 적용한 전과정위해성평가 방법론 표준화 및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2007).
  13. 환경부 고시 제2008-127호, 환경성적표지 대상제품과 작성지침 개정고시, 환경부(2008).
  14. European Commission, Directorate-General XII, Sci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ExternE Externalities of Energy, Final Report, Methodology Annexes(1997).
  15. 유승준, 곽승준, 이주석,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대기오염영향의 환경비용 추정", 지역연구, 19(3), 1-18(2003).
  16. OECD, OECD.StatExtracts - 4. PPPs and exchange rates(2009) http://stats.oecd.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