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Influencing the Obesity of Senior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Received : 2010.02.02
  • Accepted : 2010.03.13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ood habits, dietary attitudes and exercise habits of senior elementary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these children. Methods: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626 fourth to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G cit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t-test, ANOV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9.1%. The score of food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at normal-weigh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bese group. The food habits of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consideration eating between meals too often as bad habits. The dietary attitud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interest in obesity control and consideration eating fast and fat food preference as bad habits in obese group. The factors such as grade, intension in weight control and consideration eating fast, overeating, fat food preference and predilection for some food as bad habits were related to obesity. Conclusion: Food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have relation with obesity of senior elementary students. Thus, to develop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senior elementary students, we considered the food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of them.

Keywords

References

  1. 김장락 외 6명. 경남 일부 지역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율과 관련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007;11(1):10-20.
  2. 김현아. 강릉지역 학령기 아동의 비만실태 및 그 치료를 위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강릉: 강릉대학교 대학원, 1995.
  3. 김현아. 정상 체중군과 비만군 아동의 가족요인과 식습관, 사회인지적 요인 비교. 아동간호학회지 2004;10(3):300-310.
  4. 김형배. 원주시 지역 성장기 아동의 비만과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원주: 상지대학교 대학원, 2000.
  5. 남정혜, 이미영. 경기도 양주시 초등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 조사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006;19(2):153-160.
  6. 박경자.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비만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001;15(1):57-67.
  7. 박지빈 외 6명. 일개 초등학교 학생의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의 유병률. 가정의학회지 2006;27(2):104-112.
  8. 박지희, 손창성, 이주원, 독고영창. 학동기 소아 비만증의 임상적고찰. 소아과학회지 1993;36(3): 338-345.
  9.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검진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06.
  10.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1999.
  11. 신영희. 아동비만에 대한 고찰, 아동간호학회지 2005;11(2):240-245.
  12. 양경희, 김영희. 일 도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비만도와 관련된 특성.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2004;21(2):133-146.
  13. 오경원 외 6명. 한국 소아청소년의 비만 유병률 추이: 1997년과 2005년 비교. 대한소아과학회지 2008;51(9):950-955.
  14. 왕수경. 대전지역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비만율과 식습관 및 영양상태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07;16(3):631-642.
  15. 윤영숙. 중년여성의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1;15(2):363-375.
  16. 이명하, 김현옥, 형희경, 김희선. 초등학생의 비만과 관련된 지식, 태도, 행태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7;18(3): 469-479.
  17. 이종렬, 박천만.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 실태 및 관련요인 -대구시일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2004;21(2):35-54.
  18. 이진복, 이정오, 김성원, 강재헌, 양윤준. 서울 시내 일부 초등학교 아동에서 비만의 유병률 및 위험요인. 가정의학회지 2000; 21(7):866-875.
  19. 이태용 외 5명. 대전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비만수준과 관련 요인.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2006;23(3):37-51.
  20. 전미숙.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석사학위논문]. 전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3.
  21. 조인숙 외 5명. 초등학생의 학년별 성별 비만실태.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2006;31(2):177-185.
  22. 조인숙, 김미원, 박인혜, 류현숙, 강서영. 정상체중아동과 비만아동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아동간호학회지 2009;15(1):61-70.
  23. Fisberg M, et al.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orking group report of the second world congress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2004;39(suppl 2):S678-S687.
  24. Hill JO.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the epidemic of obesity: An energy balance perspective. Endocrine Review 2006;27(7): 750-761.
  25. Hodges E. A primer on early childhood obesity and parental influence. Pediatric Nursing 2003;29(1):13-16.
  26. Kiess W. Clinical aspects of obes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besity Reviews 2001;2(1):29-36. https://doi.org/10.1046/j.1467-789x.2001.00017.x
  27. Ogden CL et al.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1999-2004. JAMA 2006;295(13):1549-1555. https://doi.org/10.1001/jama.295.13.1549
  28. Ruxton C. Obesity in children. Nursing Standard 2004;18(20):47-52.
  29. Wyllie R. Obesity in childhood: An overview. Current Opinion in Pediatrics 2005;17:632-635. https://doi.org/10.1097/01.mop.0000180470.38464.ed